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희동이
  • 조회 수 1999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14년 12월 29일 10시 25분 등록

 

공감은 나에게 매우 어려운 삶의 과제 중 하나이다. 나의 입장이 아닌 타인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 그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성격적인 문제도 있었고 혼자 결정하며 지금까지 살아온 성장배경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내 결정이 우선이고 그 결정을 기준으로 다른 것들을 바라보는 것에 익숙해져 있기 마련이다. 이런 공감 능력의 부족은 늘 나에게 인간관계에서 많은 부족한 면을 만든다. 좀더 다가갈 수 있는 딱 좋은 순간을 놓치고 나서 뒤늦게 깨닫고 후회하는 일이 많다. 가끔은 이런 내가 꽤 끔찍할 때도 있다. 공감이 되지 않는데 어떻게 같이 일을 하고 미래를 꿈꾸고 오늘을 살며 힘든 시간들을 나눌 수 있게나? 하는 걱정이 들기 때문이다.

 

윤석철 교수의 삶의 정도에도 이와 비슷한 맥락의 단어가 나온다. 감수성이다. 최근 이 단어를 사용해 본 적은 없다. ‘삶의 정도를 보면서 이 단어를 다시 보게 되었다. 책에서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감정적 감수성이 아니라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의 필요를 민감하게 인식하는 태도나 방법 차원에서 이야기 하고 있다.

 

감수성은 늘 오만과 충돌한다. 나의 삶을 발전시키고 나아지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내가 살고 싶은 삶은 어떤 것인지 계속해서 질문하고 답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느 순간 나는 잘살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그 질문들을 중단하게 되고 자신이 원하는 것과 점점 더 멀어진 삶을 살아가게 된다. 결국 자신의 마음과 자신의 삶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했을 때는 이미 많은 것을 돌이킬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감수성과 오만의 충돌은 부부 관계에서도 나타난다. 결혼할 즈음의 아내와 계속 같이 산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이것이 오만인 줄 몰랐다. 아내도 인생을 살면서 변해왔고 성숙해졌다. 어떤 면에서 나는 그 변화를 인지하지 못했고 예전의 아내로 바라보는 시선을 바꾸질 못했다. 이런 것은 아내에게 불만으로 남았었다. 문제는 나이고 나의 그 감수성 부족과 오만의 결과이다.

 

삶의 정도에서 언급한 것과 마찬가지로 기업도 고객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장기적인 생존을 담보할 수 있다. 특히, 기업은 고객과 아무런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개인적인 면이나 부부처럼 삐걱거리는 것을 참고 넘어갈 수 있는 여지가 없다. 그것은 바로 선택에 의해 결정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기업은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그들이 그 것을 사용하면서 누리게 되는 가치보다 적은 비용으로 공급하는 것이 존재의 이유이다. 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급 가격보다 낮은 생산 비용을 유지해야 한다. , 원가 통제가 가능해야 한다. ‘삶의 정석에서도 지적했듯이 원가 통제의 가장 손쉬운 방법은 당장의 비용 절감이다. 이는 생산성 향상이라는 명목 하에 진행되는 다양한 구조조정이란 모습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지식경제사회의 핵심 경쟁력인 인력이 감소함에 따라 장기적인 경쟁력은 감소하게 된다. 결국 가치를 비용 대비 높게 만들지 못하게 되며 이는 선택을 받지 못하는 결과를 만든다. 이는 어는 기업이라도 피하고 싶은 결과일 것이지만 당장에 피할 수 없는 비용 압박을 어떻게 견뎌내느냐 하는 것이 능력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비용은 모든 생산의 예측으로 관리된다. 제품의 개발부터 판매 및 사후 관리까지의 예측결과를 모두 합산해서 소요 비용이 산출되며 어느 정도 정확도를 갖고 있다. 하지만 고객 가치는 기업 입장에서 판도라의 상자이다. 예측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 시험해봐야 아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고객 가치에 더 잘 부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고객 가치에 더 민감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 대규모 설비가 투자되는 사업일수록 이에 대한 노력은 더욱더 세심하고 주의를 기울여 수행되어야 한다.

 

기업의 감수성은 늘 가치의 변화에 주목하라는 말이다. 나 자신도 부부 생활도 지역사회 및 국가도 마찬가지다. 우리의 세계는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는 우리들이 갖고 있는 가치 체계에 변화를 동반한다. 이 가치 체계의 변화가 결국에는 모든 생활 양식과 문화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는 결국 기존의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화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새로운 가치에 대한 필요가 커나가게 되고 이를 포착하는 기업이 새로 생기거나 기존 기업이 이를 잘 포착해서 새로운 상품의 출시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가치의 변화를 잘 하기 위해서 삶의 정도에서는 오만을 버리라고 충고한다.오만은 눈을 가리고 오만은 귀를 막는다. 보이는 것을 그대로 볼 수 없게 만들고 들리는 것을 왜곡되게 한다. 그러므로 가치의 변화를 알아채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코닥이 디지털 카메라 시장의 흐름을 읽지 못했고, 노키아가 스마트폰 시장의 흐름을 읽지 못해서 기업이 해체되었듯이 변화의 첫 번째는 오만을 버리는 것이다.

 

오만은 늘 내가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할 때 가능할 것이다. 내가 부족하지 않다면 어떻게 그 부족함을 채우려는 노력을 할 수 있겠는가? 나는 하루의 삶을 살면서 부족하다는 생각을 잘하지 못하였나 보다. 그러니 감수성이 떨어졌고 오만했고 공감하지 못하는 딱딱한 사람이 되었을 것이다. 어쩌면 현대인들은 자신이 변화의 일부이고 그 일부로서 변화를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다는 믿음이 부족해서 더욱더 감수성을 잃고 있는지 모르겠다. 단순히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방편으로서 감수성과 오만은 다시 생각하고 깨달아야 할 오늘의 말로 생각된다. 나의 부족함은 늘 타인의 필요로 채우기 위해 남겨둔 삶의 지혜가 될 수 있기를 바래 본다.

 

IP *.94.41.89

프로필 이미지
2014.12.29 12:56:37 *.104.9.216
머리는 차갑고 가슴은 뜨거워야 하는데. 후달리다보면 늘 반대로 되어 있어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4.12.29 13:17:01 *.196.54.42

타인의 필요 아픔 정서를 느끼는 능력을 감수성이라고 했던가요?

그런 면에서는 나도 감수성이 메마른 사람입니다. 자기중심성이 강하여 주위를 돌아볼 여유가 없으니 말이죠.ㅎㅎ

난 감수성을 무엇을 보거나 들을때 느끼고 감동하는 능력이라고 생각했는데 저자는 철저히 고객입장에서의 감수성을 말하는군요.

아주 경영학적인 감수성임다 ㅎㅎ

여튼 감수성은 어떻게 배양할 수 있을까? 이건 내게도 숙제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12.29 13:48:43 *.124.78.132

기업경영에서는 소비자의 언멧니즈를 오롯이 느끼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테지만

일상 생활에서는 감수성이 너무 크면 그것도 괴로운 것 같아요. 괜스레 타인 때문에 내 가슴이 더욱 아프고 말이죠~


프로필 이미지
2014.12.29 15:00:28 *.119.88.145

우린 지속적으로다가 수행 중인 듯. 글구 수행 중 최고는 면식수행. ㅋㅋㅋ  적어도 뱃 속은 든든해... ^^;

프로필 이미지
2014.12.29 20:49:00 *.160.33.145

감수성이 있는 행동과 처신과 제품 속에서 편안함을 찾을 수 있는데, 그렇지 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게 되어요. 

예전에는 실수하면서 배우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러다가 문득 나는 원래 감수성 없는 인간이었고, 앞으로도 그렇게 몰랐다는 듯이 살게 되는 것은 아닐까? 두려워져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52 ....... [4] 에움길~ 2014.12.29 1972
» #36 감수성 그리고 오만 [5] 희동이 2014.12.29 1999
4450 창 너머 세상 [6] 앨리스 2014.12.29 2121
4449 자신의 변화를 이룰 수 있는 정도(正道)_찰나칼럼#36 [3] 찰나 2014.12.29 2003
4448 당면한목적함수_구달칼럼#38 [8] 구름에달가듯이 2014.12.29 1909
4447 #36 기술의 발전은 진보인가_정수일 [6] 정수일 2014.12.28 2134
4446 아이가 없어졌어, 으헝, 으헝엉, 엉엉엉! 타오 한정화 2014.12.23 1956
4445 나만의 개성넘치는 삶이란 [2] 녕이~ 2014.12.22 1949
4444 '잘될거야'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까지 [4] 어니언 2014.12.22 1932
4443 포트폴리오 인생이려나 [2] 에움길~ 2014.12.22 1901
4442 결정적이고 장기적인 곰탕의 효용에 관하여 [5] 종종 2014.12.22 2158
4441 엄마가 필요해 [4] 왕참치 2014.12.22 1863
4440 내 것이 소중함을 깨닫기까지 [2] 앨리스 2014.12.22 1954
4439 #35 - 황금의 씨앗 [1] 희동이 2014.12.22 1973
4438 꿈속에서도컨셉_구달칼럼#37 [2] 구름에달가듯이 2014.12.21 1984
4437 #35 준비없는 이별_정수일 [2] 정수일 2014.12.21 1939
4436 남들보다 낫기보다는 남들과 다르게_찰나칼럼#35 [2] 찰나 2014.12.21 2020
4435 3-32. 헤라클레스는 누구에게 인정받고 싶은가? 콩두 2014.12.21 2805
4434 3-31. 거절이 진실이다 [3] 콩두 2014.12.21 2157
4433 3-30. 아이들의 고향집이 될 새 집 콩두 2014.12.21 2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