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7년 8월 20일 12시 34분 등록


창문을 때리는 빗소리가 시원하다. 8월도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빗소리와 함께 뜨거웠던 여름을 보내며 여름을 노래한 약명시(藥名詩) 한 편을 소개한다. 더불어 시에 실린 약재 설명도 곁들여 본다.

 

<>

 

皮蛙唱薄荷溏,竹叶中小院凉 (청피와창박하탕,죽엽종중소원량)
村榭绿莲须露,田赤灼骄阳 (촌사녹연수대로,전원적약약교양)
苍树蒲扇,琥珀杯中 (음창수하휘포선,호박배종대주장)
笑攀河岸柳,捕湿汗汪 (치자소반하안류,포선이습한왕왕)

 

청개구리 연못가 진흙탕에서 개굴, 댓잎은 작은 뜰에서 쏴아.  
시골집 초록 연잎 꽃술엔 이슬, 마을가 붉은 작약 뙤약볕 아래 이글.  

푸른 그림자 나무 아래 너울대며, 호박잔 속에서 술을 건네네.
치자나무 웃으며 강가 버들에 손 흔들 제, 매미 잡는 옷에는 땀 자국 흠뻑.

(*전문가의 번역이 아니므로 너그러운 양해를 구함)

 

연못가에서 개구리 우는 소리, 스치는 바람에 댓잎 부대끼는 소리. 초록 연잎에 담긴 이슬 한 방울, 붉게 타는 적작약. 너울대는 나무 그림자는 부채를 부쳐주듯 시원한데, 나무 아래 호박잔에 비친 모습이 술 한 잔 권하는 손짓 같기도 하다. 강 건너까지 퍼지는 진한 치자향기. 땀으로 흠뻑 젖은 매미 잡이의 옷.

 

'여름'이라는 제목의 이 시는 여름의 소리, 향기, 빛깔이 담겨 뜨거운 여름철 시골의 생활정취를 드러내고 있다. 특이한 점은 각 구절마다 박하, 죽엽, 연수, 적약(적작약), 창출, 호박, 치자, 선의 등의 약재명이 들어가 총 8가지 약재가 삽입되어 있다는 것이다. 생활 속에서 약재가 친근했던 시대, 약재명이라는 제한을 두고 지은 약명시 중 하나다. 여기에서는 8가지 약재 중 죽여, 치자, 선이에 대해 소개해본다.

 

竹叶从中小院凉(죽엽종중조원량)

댓잎은 작은 뜰에서 쏴아.’ 대나무 사이로 부는 바람에 댓잎들이 부대끼며 내는 소리가 들린다. 후덥지근한 여름을 식혀주는 시원함이 느껴지는 구절이다. 대나무의 서늘한 성질을 알고 있었던 조상들은 일찍이 한 여름 밤의 숙면을 위해 죽부인을 끌어 안고 자곤 했다. 대나무의 잎을 죽엽이라 하고, 대나무의 속껍질을 말린 것을 죽여라 한다. 서늘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죽엽은 위장에 열이 있어 생기는 구토와 소화불량 등에 사용된다. 죽여는 그 시원한 성질로 불면을 다스리는 처방에 쓰이기도 한다. 죽부인의 한약 버전인 셈이다.

 

불면의 원인은 심비불화’(心脾不和)라 해서 '심장' '비위'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 주로 생긴다. 불면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맥은 주로 심장에 화가 많고 비위가 약해서 소화불량, 속쓰림 등의 증상도 함께 보인다. 이러한 심비불화로 인한 불면증에는 주로귀비탕처방을 쓰는데 귀비탕에는 모려, 연자육, 죽여 등의 약재를 포함한 17가지의 약재가 처방된다. 시에도 등장하는 '죽여'(정확히는 죽엽이나 여기서는 한 범주로 간주)는 화와 열을 식혀 편안한 수면을 유도한다. 이렇듯 불면을 다스리는 약재들은 굴의 껍질(모려), 연꽃의 씨(연자육), 대나무의 속껍질(죽여) 등 모두 자연으로부터 온 것이다.

 

笑攀河岸柳(치자소반하안류)

치자 나무 웃으며 강가 버들에 손 흔들 제.’ 중국이 원산지인 치자나무는 6~8월에 꽃이 피는 여름 꽃으로 여름을 노래하는 시에 알맞은 등장이라 하겠다. 치자꽃은 그 향이 진하고 좋아 강 건너 버들에게 손 흔든다는 표현에서는 바람을 타고 강 건너까지 퍼진 치자의 여름향기가 전해지는 것만 같다.

 

약을 달이던 어느 날 약재의 빛깔이 고와 눈이 즐거운 때가 있었다. 치자(梔子)가 들어간 까닭이었다. ‘치잣물 들인다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치자는 그 빛깔이 고와 예로부터 천연 염색의 용도로도 쓰였다. 약재로 쓰이는 것은 치자열매인데 붉은 빛깔을 띠고 심장의 형상을 하고 있다. 치자는 특히 홧병을 치료하는데 효과를 보인다. 한방에서 홧병은 말 그대로 가슴에 화가 많은 것, 심열(心熱, 심장에 열이 많다)이 있는 경우로 본다. 이에 더하여 담음’(순환이 안될 때 쌓이는 찌꺼기)이 있는 경우가 많다. 가슴에 화가 많아 그렇잖아도 답답한데 이에 더해 순환이 안되고 막혀 있으니 스트레스가 쌓이고 과민해진다. 심장에 火가 쌓이니 어떻게든 분출할 출구가 필요하게 된다.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화산을 상상해보면 되겠다. 이런 경우 처방의 핵심은 심장의 열을 식히고 속을 시원하게소통시켜 주는 것이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치자는 가슴에 있는 심한 열과 위() 속에 있는 열, 그리고 속이 답답한 것을 낫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가슴과 심장이 뜨거운 여름처럼 火의 기운이 가득할 때, 치자는 여름철 부는 한 줄기 시원한 바람처럼 그 열을 식혀준다.

 

湿汗汪 (선이습한왕왕)

매미 잡는 옷에는 땀 자국 흠뻑.’ 에어컨 바람으로 건강한 땀 한 방울 흘리기 어려운 현대의 여름이다. 여름철 우렁차게 울어대는 매미를 잡는 사람, 그의 땀으로 흠뻑 젖은 옷. 그 옛날 시골 여름날의 풍경이 매미소리와 함께 다가온다. 용케 잡히지 않고 여름 한 철 목청껏 울어댄 매미는 나무에 허물을 남겨두고 떠난다. ‘매미 잡는 옷으로 풀이했으나 선의(蟬衣)는 바로 매미의 허물을 말하며 한약재로 쓰인다. 선퇴(蟬退)라고도 한다.

 

언젠가 우연히 약장을 열어보다 매미 허물이 가득한 것을 보고 식겁하여 다시 닫아버린 적이 있다. 선의는 열을 제거하고 해독하는 효과가 있어 피부의 두드러기, 간지러움 등의 여러 피부질환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다른 약재와 함께 사용 시 항알러지 작용이 생겨 그로 인한 두드러기를 예방할 수도 있다.

 

여름을 노래하는 시 한 편에서 뜨거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환과 그의 치유 약재 등을 살펴 보았다. 자연에 이미 존재하는 약재들은 각자의 성질과 특성에 맞는 역할을 다해 질환을 치료한다. 조상들은 일상에서 접하는 약재들의 성질을 잘 알고 있었고 이를 민간요법에 잘 활용하였다. 언어를 매만지는 시인도 약재명에 익숙하여 이처럼 詩作에 활용하였다. 약재명이 시어에 쓰였다는 것은 그만큼 자연치유에 대한 지식과 지혜가 지금보다는 일상적이었다고 볼 수 있겠다. 여름을 노래한 약명시 한 편을 통해 대나무, 치자꽃, 매미에서 자연 속 치유의 힘을 떠올려보자. 그렇게 무심코 지나친 동식물이 시를 통해 우리 몸의 치유자로 다가온다는 것도 재미있지 않은가. ()

IP *.18.218.234

프로필 이미지
2017.08.21 13:28:28 *.146.87.33

보리 누님의 풀이와 의미해석으로

한 주간 무거웠던 몸과 마음이 치유되는 듯 합니다!


언어로 치유하는 보리 닥터~!!


치유된 마음 가지고 토요일에 건강한 모습으로 뵙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8.22 21:30:37 *.18.218.234

뭐..그냥 격려차원의 댓글이라 생각하겠소.

괜한 주제 잡았다고 후회한 칼럼임. -_-;;

프로필 이미지
2017.08.21 14:13:01 *.226.22.184

여름 원두막에 앉아 매미소리 들으며

동기들과 호박잔속에 술한잔 하고 싶네.


안그렇소?



프로필 이미지
2017.08.22 21:31:52 *.18.218.234

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원두막에서 술을 마실 지 호박(?) 夜에서 춤을 출 지

프로필 이미지
2017.08.23 21:07:28 *.106.204.231

또다른 한시미학을 느끼게 하는 시네요. 뜨거운 여름 탕약을 달이는 누나의 모습이 보이네요.

옛말 틀린게 없네요. 서당개 3년이면 일낸다고 하더니 거의 허준 저리가라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7.08.25 18:05:42 *.18.218.234

약명시 찾는다고 바이두 검색하고, 번역하고, 구색 맞추고

젤 고생한 글이긴 한데 젤 마음에 안드는 글이네요.

한시미학산책처럼 풀어내는 정민 교수에 대해 새삼 대단함을 느꼈어요 ㅋ

그저 읽은 분들께 감사할 뿐.


프로필 이미지
2017.08.26 00:47:22 *.222.255.24

맘에 안 드신다고 하지만 고생한게 글 전반에서 보이네요.

담에 약명시 직접 한 수 써보시는 것도 좋을 듯.~^^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32 칼럼 #16 왜 나는 페미니즘이 싫을까 (정승훈) [7] 정승훈 2017.08.20 1030
» (보따리아 칼럼) 약명시(藥名詩)와 함께 하는 탕전실 일기 [7] 보따리아 2017.08.20 943
4730 #15. 일상으로의 복귀 [2] ggumdream 2017.08.14 907
4729 우리에게는 해독이 필요합니다 [6] 송의섭 2017.08.14 932
4728 <뚱냥이칼럼 #15> 뚱냥이 시미학 산보① [4] 뚱냥이 2017.08.14 924
4727 #15. 반칙왕을 꿈꾸다_이수정 [3] 알로하 2017.08.14 912
4726 #15 - 목적지만을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가는 길이 목적인 여행 [5] 모닝 2017.08.14 894
4725 칼럼 #15 보은(報恩)_윤정욱 [2] 윤정욱 2017.08.14 946
4724 칼럼 #15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정승훈) [6] 정승훈 2017.08.12 1041
4723 (보따리아 칼럼) 고인을 기리며 남은 효를 다짐하다 file [3] 보따리아 2017.08.11 957
4722 쑥스러움을 딛고 스스로를 표현하기 [4] 송의섭 2017.08.07 896
4721 (보따리아 칼럼) 부탄, 방부제가 뿌려진 히말라야 산자락의 꽃 피는 산동네 [1] 보따리아 2017.08.07 1029
4720 #14. 40대의 재롱잔치_이수정 [3] 알로하 2017.08.07 901
4719 <뚱냥이칼럼 #14> 뚱익스피어의 '뚱냥이의 하루' [1] 뚱냥이 2017.08.07 925
4718 #14 화려하지 않은 고백(이정학) [2] 모닝 2017.08.07 898
4717 #14. 여름산행 file [1] ggumdream 2017.08.07 903
4716 칼럼 #14 시계 도둑은 말이 없다 [2] 윤정욱 2017.08.07 914
4715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902
4714 <뚱냥이칼럼 #13> 일상으로의 초대_2 [1] 뚱냥이 2017.07.31 900
4713 삼국유사속 역사기행은 어떠신지요? [1] 송의섭 2017.07.31 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