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루미
  • 조회 수 2435
  • 댓글 수 14
  • 추천 수 0
2011년 5월 2일 09시 29분 등록

재여는 자가 자아이며 말솜씨가 뛰어났다. 그는 공자에게 가르침을 받다가 이렇게 물었다.

“부모의 상을 삼년이나 치르는 것은 너무 길지 않습니까? 군자가 삼 년간 예를 닦지 않는다면 예는 반드시 무너질 것이며, 삼 년 동안 음악을 팽개친다면 음악도 반드시 무너질 것입니다. 일 년이 지나면 묵은 곡식이 다 없어지고 햇곡식이 익고, 나무를 비벼 얻던 불씨도 한 해에 한 번씩 바꿉니다. 그러므로 부모의 상도 일 년이면 됩니다.”

<중략>

“재여는 참으로 어질지 못하구나! 자식은 태어나서 삼 년이 지나야 부모 품에서 벗어난다. 그래서 삼년상은 세상의 합의된 예의이다.”

- 사마천의 <사기열전> 중 중니제자열전 “자식은 태어 난지 삼 년이 지나야 부모 품을 벗어난다.”

이 이야기를 처음 읽을 때 나는 생각했다. “삼년? 벗어나? 그게 가능한 거야?” 물론 공자가 이야기하고자 한 바는 부모에 대한 이야기였겠지만 나는 자식이 삼년 만에 부모 품을 벗어난다고 얘기한 공자가 조금은 어이없었다.

그로부터 하루 이틀이 지났을까. 33개월 쯤 되는 딸아이는 아침에 돌연 어린이집을 가지 않겠다는 말을 했다. 제법 울먹이는 딸을 몰아세울 수 없었다. 선생님께 할머니를 내보내고 아이와 누워 이야기를 시도했다. 아직은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는 아이다. 나는 최대한 무언가를 캐내기 위해 노력했으나 하루쯤은 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선생님과 대화를 마치고온 할머니의 이야기는 충격이었다. 아이는 어제 한 시간 가량을 울었다고 했다. 처음의 운 이유는 이해할 수 있지만 친구들이 달래도 선생님이 달래도 그치지 않고 한 시간을 자신의 고집대로 버텼다고 한다. 그래, 그 사건 때문이구나. 암담했다. 아이는 가야했다. 오늘은 어떤 일이 있어도 가야한다고 생각했다. 평소 아이가 기대는 할머니를 집밖으로 내쫓았다. 아이와 마주 앉았다. 아이의 울음은 잦아들어 있었지만 여전히 고집스레 가지 않겠다고 우겼다.

아이에게 자초지종을 확인한다. 울었다 한다. 친구들이 달래 주었다 한다. 그래도 울었다는 대답을 하면서는 나를 보지 않는다. 나를 닮았다. 눈물이 나려 한다. 아니, 눈물이 난다. 너무나도 나를 닮은 아이 앞에서 눈물이 난다. 그 모습이 서럽다. 나를 닮아 힘든 아이가 마음 아프고 서럽고 눈물이 난다. 아이를 안으며 애써 눈물을 삼킨다.

단호하게 아이에게 가야한다 말하고 아이의 옷을 입히고 아이의 가방을 챙긴다. 아이가 항상 가지고 다니는 식판이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나다. 아이는 울며 내 다리를 안아온다. 나중에는 포기했는지 울음을 그치고 평상시로 돌아온다. 학원 아이들에게 받은 과자 한 개를 쥐어주고 아이를 태워 어린이집으로 향했다.

아이와 헤어지기 삼 단계를 마치고 어린이집으로 들여보낸 후 선생님과 이야기를 했다. 아이는 대체로 수업을 잘 따라간다고 한다. 너무 어린나이에 떨어뜨려 놓은 것은 아닌가 하는 나의 걱정을 무색하게 할 만큼 노래와 춤을 좋아하고 말로 표현하는 법도 제법이라고 한다. 순간 우쭐해진다. 그래 내 딸인데 누굴 닮겠어?

감정의 표현이 아직 힘들다는 말을 한다. 친구들과의 관계가 힘들다 한다. 말랐지만 키도 크고 형제가 없어도 말을 제법 잘하는 아이인데 아이는 감정적인 면에서 아직은 또래 아이들보다도 어리다 한다. 만 3세가 되면 아이들은 스스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생기고 스스로 하고자 하는 욕구도 많아진단다. 그래서 어린이집에서는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을 시키기도 하고 아이들과의 관계에서도 조금 뒤에서 바라봐 준다고 한다.

아이는 사돈의 팔촌까지 들먹여도 혼자다. 아직 누군가 배에 담고 있는 아이도 없으니 적어도 일 년은 그럴 것이다. 가까이 있는 친구들 중에서도 나는 단연 빨랐다. 아이는 그렇게 아빠는 없어도 많은 식구들과 이모들 사이에서 자랐다. 태어났을 때 2.56kg. 하품하는 것도 신기했고 울음소리도 신기했다. 무언가를 하나 해낼 때마다 탄성과 감탄사의 연발이었다. 가장 철없는 엄마에게서 태어나 한 가지가 부족해 보이는 아이는 모두의 관심과 사랑의 대상이었다. 아이에게 부족해 보이는 한 부분을 메우려 우리는 엄청난 사랑(?)을 표현했다.

걷기 싫으면 돌려가며 누군가 안아주었다. 아침이면 나가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는 7시면 문을 여는 동네 빵집의 단골손님이다. 졸린 아이를 차에 태워 동네를 열 바퀴쯤 도는 것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 수많은 어른들 사이에서 우리는 단 한명의 아이를 그렇게 예쁘게 키웠다. 한 없이 어리고 작은 존재 그게 아이였다.

그런 아이가 이제는 자라나 스스로 하는 일이 많아지고 자립심과 책임감을 배우고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워야 한단다. 우리가 인정하지 않아도 그런 모습을 발견하지 못해도 아이는 그 정도의 단계에 와있다고 한다. 이제 아이는 다른 사람들의 사랑과 지지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뒤로 놓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때라 한다.

아이는 얼마나 힘들었을까? 이미 자란 아이를 어린애 취급하며 아직은 요람 안에 머물게 하고 있는 나와 달리 어린이집에서는 하나의 몫을 하도록 했으니 아이는 얼마나 혼란스러웠을까? 그래 자연히 집이 더 좋았겠지. 새로운 세상에 두려움이 생겼겠지. 뜻대로 되지 않는 세상에 나가는 것 보다 자신의 껍질 안이 편했겠지.

차로 돌아와 운전대를 잡으며 생각한다. 해줄 수 있는 것이 더 많았으면 얼마나 좋았겠니. 밥도 다 먹여주고 오늘처럼 네가 힘든 날이면 항상 안아줄 수만 있으면 얼마나 좋겠니. 하지만 아이는 나아가야 한다. 후퇴처럼 보이는 길일지라도 제 자신이 지나가야 한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긴 터널처럼 보이는 그 길로 아이를 밀어 넣고 출구를 향해 죽자 살자 뛰어 아무 일도 없었던 듯 기다리다 안아주는 수밖에 없다. 그 터널을 제 자신이 지나가지 못했을 때 기다리는 것은 더 길고 험한 터널임을 이제 나는 알고 있다. 3년. 아이는 그만큼 자라있었다. 나는 그간 자랐다고 생각했지만 아직은 아이에게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아이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나는 잠든 아이를 보며 가슴이 먹먹해졌던 순간이 있었다. 작은 불빛 아래 아이를 바라보다 나는 생각했다. 엄마가 나에게 해 준 것들을. 그것을 이제는 이 아이에게 해주어야 한다는 사실에 나는 조금은 두렵고 과연 해 줄 수 있을까하는 생각과 이미 부족한 것을 안긴 사실에 가슴이 먹먹했다.

아이를 낳아야 제 부모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다고 했던가. 나는 이제 우리 부모가 잠잘 때 나를 쓰다듬어 주고 이불을 덮어주던 심정을 이해할 수 있다. 술이라도 한 잔 하는 날이면 나를 보고 마음아파 하던 그 마음이 조금이나마 헤아려진다. 제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이야 어느 부모가 덜 할 수가 있을까? 사랑하면서도 표현할 수 없었던 부모를 이제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아마 지금쯤 온갖 이불을 다 차며 자고 있을 게다. 어렸을 때부터 세 번만 차면 발을 드러내놓던 아이이니. 지금도 그러고 있을 거다. 아이에게 이불을 덮어 주어야겠다.

IP *.23.188.173

프로필 이미지
2011.05.02 10:23:23 *.205.67.118
루미가 굉장히 어른스럽게 느껴진다.
어른들 말처럼 아이를 낳고 키우는 과정안에서 비로소 어른이 될 수 있는 건가봐.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03 05:56:32 *.23.188.173
아이가 가르쳐 주는 것들이 생각보다 많더라구요
제가 배우고 사는 듯~ㅋ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11.05.02 11:20:48 *.98.16.15
내가 멘토가 아니라 루미를 멘토로 삼아야 할 듯..
역시 서로에게 배울 수 있는 이 공간이 참으로 좋다..^^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03 05:57:55 *.23.188.173
언냐는 영원한 나의 멘토지요~~~
프로필 이미지
2011.05.02 12:52:50 *.111.51.110
루미는 아이 얘기만 해도 밤낮으로 몇일은 끄덕없을 것같아.
터널의 비유는 눈물을 글썽이게 하는구나~ㅠㅠ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03 05:59:18 *.23.188.173
그만큼 제가 아이에게 기대는 부분이 많은가봐요~ㅋ
아무래도 아이가 저를 키우는 듯?
프로필 이미지
2011.05.02 15:00:45 *.124.233.1
세상 나이는 그대보다 내가 몇이 더 많지만,
아직 아이가 없어본 나는 그대의 깊이를 당해낼 재간이 없네.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고, 세상에 태어나게 하고, 양육하는 과정 자체가
하나의 영웅의 여정인 것 같아.
역시 삶이 담긴 이야기는 깊구나. ^^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03 06:03:20 *.23.188.173
고민하고 있을 때 한방씩 터뜨려주는 것이 우리딸의 역할이지요~ㅋ
면접 여행에서 장례식에서 보게 된 오라버니 모습은
정말 좋은 아빠가 될 듯 했어요^^
똑 닮은 아이를 데리고 다니는 모습을 상상하는 중
캬~ 귀여울 것 같은데~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5.02 19:19:05 *.35.19.58
루미가 아이를 키우며 어른이 되어 가는구나.
나도 '엄마, 잘못했어요. 어린이집 안 갈래요.'하는 아이을 억지로 어린이집에 맡기고 얼마나 가슴이 아팠던지.
그런데 며칠 지나자 언제 그랬냐는듯이 어린이집에 잘 다니며 잘 놀더라.
아이에게도 시간이 필요해. 그냥 아무말 말고 기다려줘. 준비가 되면 신호를 보낼꺼야.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03 06:07:16 *.23.188.173
저도 그날 하루종일 기분이 샐쭉 하더라구요
첫날은 많이 울더니 이제 조금씩 잦아들었어요
어린이집 차가 오기전에 나가서 그림자 놀이를 하곤 해요
동네를 뛰어다니는 것만으로도 조금 기분이 나아지나봐요
아마 이런 아이가 없었더라면 마냥 어린채로 남아있었을 거예요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5.03 09:38:00 *.138.118.64
아... 눈물 날라그래... 엄마의 마음이란 이런거구나..
루미언니 자체만 보면 완전 어린애 같은데. 딸을 가진 부모인 루미언니는 참 다르구나..
^^ 언니와 딸의 이야기 완전 기대됨!!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04 06:10:10 *.23.188.173
어린애 같다니~~~~~ 좋은 소리를~~~~~
내가 적은 건 아마 세상의 모든 부모가 다 겪은 이야기들일껄
내가 겪은 것들은 다른 부모들에 비해 작으면 작았지 크진 않을꺼야
정말 대단한건 이날까지 이런 나를 봐주고 있는 우리집 여사님이시지...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03 13:09:47 *.219.84.74
아이에 대한 사랑도 그렇지만 부모의 심경을 헤아릴 수 있는다는 것이
아이를 키워보면서 느끼는 거다. 모두가 그럴것이다.
"너도 부모 되어 봐라" 하던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린다.

5월이니 아이도 부모님도 날을 빌어 챙겨보아야 겠다.

루미야 잘 읽었다.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04 06:15:16 *.23.188.173
중3 때 저희 담임선생님께서 그러셨어요
"더할 필요도 없다. 딱 너만한 딸만 낳아봐라. 그래야 네 엄마를 알지."
그래서 대답해 드렸는데 "전 아들낳을껀데요~"
요즘들어 예언을 하신 그 분이 대단하다는 생각뿐~ㅋ
 잘 읽었다는 평범한 인사가 너무 감사하네요
요즘들어는 그런 말들이 좋아져요. 으레 쓰는 말 같지만 왠지 오라버니가 하니깐 다른 느낌으로 다가와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72 칼럼. 두친구 그후 - 겁나는 반성문 [14] 연주 2011.05.03 2397
2371 사랑과 우정을 넘어 [10] 2011.05.03 2077
2370 방사능비를 어찌할까 [11] 박상현 2011.05.03 2109
2369 [01] 감사하다고 말하는 것 [18] 최우성 2011.05.03 2103
2368 춤과 웃음 [14] 이은주 2011.05.03 2395
2367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은, 스트레스 [13] 달팽이크림 2011.05.03 2051
2366 칠연계곡 다녀오던 길 file [18] 신진철 2011.05.03 2186
2365 [호랑이] 시장성 진단에 대한 설명 crepio 2011.05.03 2126
2364 사물열전 (사물에게 말걸기) file [14] 사샤 2011.05.02 2126
» 자식은 태어 난지 삼 년이 지나면 부모 품을 벗어난다 [14] 루미 2011.05.02 2435
2362 05. 마음 구하기 [14] 미나 2011.05.02 3071
2361 그 별들은 다 어데로 갔을까 [8] 신진철 2011.05.02 2326
2360 [양갱4] 맞선 자, 거스른 자, 비껴간 자 file [16] 양경수 2011.05.02 3897
2359 5. 상황에 대처하기 [16] 미선 2011.05.02 2019
2358 나비No.5 - 보스열전 [9] 유재경 2011.05.01 3762
2357 [늑대5] 너는 무엇으로 사느냐 [10] [1] 강훈 2011.05.01 2134
2356 [평범한 영웅 005] 떠나거나 아니면 새로운 철학을 찾아라 [12] 김경인 2011.05.01 3801
2355 라뽀(rapport) 49 - 마음의 혹 [3] 書元 2011.04.30 2052
2354 단상(斷想) 62 - relax & relax file [3] 書元 2011.04.30 5879
2353 [호랑이 실험 11- 세미나 후, 4장 구성 재정리 및 향후 호랑이 스케쥴] [3] 수희향 2011.04.28 2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