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미선
  • 조회 수 2091
  • 댓글 수 18
  • 추천 수 0
2011년 5월 23일 03시 45분 등록

  요즘 많은 화제가 되고 있는 프로인 ‘나는 가수다.’ 에서는 가수란 모름지기 노래를 잘 불러야 하는 것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언제부터인가 가수가 노래를 잘 하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되어 버렸다. 그보단 외적인 것에 더 관점을 맞추어 가고 있어 나이가 들어 갈수록 음악프로를 보게 되면 누가 누구인지 구별이 안 되는 건 당연하고 눈만 빙빙 돌아가고 어지러운 느낌까지 들곤 했다.  하지만 이 프로에서 보여주고 있는 그들의 모습은 전율 그 자체이다. 사람들을 노래로써 감동시킨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프로가 어떤 것인지 보여주는 그들의 모습은 울림을 주기에 넘치고도 남는다. 가수는 노래를 부르면서 객석의 관중은 노래를 들으면서 같이 호흡하며 같은 감정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 그 자체로 가수는 얼마나 큰 희열을 느낄 수 있을지, 또한 관중은 얼마나 큰 감동을 느낄지 감히 상상이 가질 않는다. 거기서 한 가수는 이런 말을 하였다. 무대에 설 때마다 긴장이 된다고 하지만 연습을 많이 하면 긴장이 되지 않는다며 오늘은 연습을 많이 해서 긴장이 되지 않는다고. 이 얼마나 멋진가! 참으로 당당하고 자신감 넘치는 말이다. 그렇게 말하는 모습을 보고 그래서 ‘프로는 아름답다’고 하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수업 중에 교수님이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다. 노래방에서 늘 100점을 받는다고 누구나 가수가 되는 것은 아니라고, 그것은 어떻게 보면 기본 중에 기본이며 그것을 바탕으로 실력에 필요한 것들을 차곡차곡 쌓아가는 것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는 말을 하셨다. 길을 찾았다면 어떻게 가야하는지도 찾아봐야 할 것이다. 그 다음에는 그 길을 믿고 따라가는 것이다. 여기서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서 이미 프로라는 생각으로 모든 일에 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얼마나 그 일에 질적으로 매진하고 있는지도 점검하면서 넘어가야 할 부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방법적인 부분이 확실히 자리 잡히고 거기에 대한 믿음이 있다면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을 나아감에 있어 흔들림이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흔들린다면 그것은 스스로가 그것이 자신의 길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연구원 준비를 하면서 북리뷰 하나, 칼럼 하나를 매주 올려하는 것을 알았을 때는 칼럼이라는 단어자체가 참 생소하게 느껴졌다. 글이라고는 ‘리포트’나 ‘일기’ 또는 ‘편지’라 명명된 것 이외에는 써 본적이 없었기 때문에 ‘칼럼’이라는 단어에서는 전문가 냄새가 나서 나와는 어울리지 않는 듯한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모든 것에는 익숙해지기 마련이라 '칼럼'이라는 단어를 말하는 것은 이제는 자연스럽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단어만 자연스럽다. 처음에 연구원에 합격이 되고 ‘연구원 칼럼’ 란에 글을 올릴 수 있게 되었을 때는 나의 글 수준에 상관없이 괜스레 마음이 뿌듯했다. 그 공간은 나에게 있어 노래방 점수 100점이 보장되어 있는 공간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아. 나도 여기에 글을 올릴 수 있구나.’ 하는 마음에 발을 땅에 딛고 있지 않았다. 소리 꽥꽥질러 100점이 나올 때도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것처럼, 그저 점수 100점에 좋아라 방방거리는 것처럼 말이다. 100점은 단지 표면적인 점수에 불과하다는 것을 외면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 분야에서 프로가 된다는 것은 많은 인고의 세월을 견뎌내야 할 것이다. 그 과정 안에서 지치지 않고 나아가려면 자신을 전적으로 믿는 방법이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 과정에서 옆도 보고 위도 보고 아래도 보는 여유를 가지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면 그때서야 즐기면서 가는 것이 어떤 것인지 몸으로 와 닿을 것이다. 거기에 지나치게 양적인 것에 집착하지 않는다면 작지만 알차게 하나하나 쌓아가는 기쁨을 느끼면서 나아간다면 쉽게 지치는 일도 없을 것이다.

솥 안의 국 맛은 한 점 고기로도 충분한 것이다. 라는 말처럼 본연의 모습을 놓지 않는다면 적은 양일지라도 질로 승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말을 당당히 하는 미래의 어느 날을 그려본다.
 “글을 쓸 때마다 내가 주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 늘 고민이 됩니다. 하지만 많이 써보면 주제를 잘 따라갈 수 있는 믿음이 생기지요. 그동안 많이 쓰면서 연습을 했기 때문에 이제 는 더 이상 이 부분에 있어서는 고민하지 않습니다.” 라고 여유롭게 웃으며 말하는 나를 말이다. 이때가 오면 그때는 자신감 있게 “나는 작가이기도 합니다.” 라고 말할 수 있겠지?

 

IP *.205.67.118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08:41:24 *.45.10.22
미선아 나도 이 테마를 주제로 쓰려고 했다가 너의 글을 보고는 급 선회했다 나는 작가다 멋지다 ^^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3:19:06 *.205.67.118
에공.. 언니의 감각으로 쓴 '나는 작가다' 를 볼 수 없어 아쉬운데요^^;;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7:46:21 *.45.10.22
고마워 미나야 
일요일밤은 월요병에 이어 컬럼병까지 얻었다는
잠을 이룰수가 없다 ^^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5.23 15:19:57 *.142.255.23
역시 예술가적 기질이 있는 사람들끼리는 통하는게 있나벼.. 사샤언니 근데 급선회해서 저런 글이 나왔다니 더 놀랍다는..ㅋㅋ..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23 09:32:59 *.23.188.173
나는 작가다
언니의 글이 나에게도 희망이 되네요
나도 쓸때마다 주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 생각해요...
이 책을 읽고 이런 내용을 써도 되는건지 생각하고...
우리 함께 그리 말할 수 있는 날을 꿈꿔봐요~~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0:54:23 *.45.10.22
루미야 나두나두 ^^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3:26:52 *.205.67.118
그래~ 우리 함께 꿈꾸자. 아니 이미 함께 꿈꾸고 있잖아^^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05.23 10:29:15 *.113.130.40
미선..
"너만 작가다." 라고 말했다가는 우후후...말죽거리 잔혹사 재촬영 드가겠제...우히힛~
나는 너의 영원한 친구야...나는..나는...너의 기쁨이야~
너는 나의 영원한 친구야,,너는  너는  ...나의 기쁨이야~
청파다방에 가서 커피 한잔 사주고 싶은 글, 잘 읽었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0:53:57 *.45.10.22
미선이는 정말 행복하거예요 
이곳에서 범해선생님을 만나 멘토의 연까지 이어져서 말이지요. 
위대한 탄생 뒤에는 늘 위대한 멘토들이 있더라구요~!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3:21:32 *.205.67.118
네~ 선생님 ^^
지난번에 산책 못해서 아쉬웠어요.
햇볕 좋은 날을 다시 볼께요.^^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1:26:46 *.124.233.1
매일의 힘 그리고 거기에 질적가치가 더해지면

우리도 작가가 되겠지?

매일 100번 웃고 있니? ^^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3:24:54 *.205.67.118
그날을 기대하면서 열심히 훈련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100번은 여전히 어렵다는...^^;;    그래도 많이 웃으려고는 하지^^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23 11:32:03 *.85.80.112
'나는 가수다'에서 느낄 수 있는 소름끼치는 느낌을 그대에게 기대합니다.
우리가 이곳에서 그대에게 소름끼치는 날,
한명의 훌륭한 작가가 새로이 부활하는 시점이겠지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3:28:53 *.205.67.118
작가로 그런 전율을 줄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 같아요.
먼저 앞서걸어가실 오빠의 모습을 본받아 따라 갈께요^^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5.23 15:21:41 *.142.255.23
노래방에서 100점 맞는다고 다 가수되는건 아니다라는 말이 참 와닿네... 매일 꾸준히. 정말 어려운 일인듯. 특히 나같은 게으름뱅이에게는.. ㅎㅎ.. 1년 뒤에 매일 꾸준히가 내 몸의 일부가 되면 좋겠다.. 미선작가님 기대합니다.이미 작가다..ㅋ.
프로필 이미지
미선
2011.05.23 17:47:45 *.207.36.122
미나는 바쁘게 사는 것으로 이미 게으름뱅이가 아닌 것 같은데
부지런함이 이미 몸에 습관화 되어 있으니 이제 작가를 향해 달려가면 되지 않을까?^^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5.23 16:46:53 *.35.19.58
미선의 글이 달라지고 있다. 역시 웃음의 힘이 글에 나타나는구나.
김용규 선생님이 그러셨지. '작가라고 생각하고 글을 써야 작가가 되는거다.'
미선이는 이미 작가가 되었네. 축하하오~~
프로필 이미지
미선
2011.05.23 17:49:39 *.207.36.122
언니의 댓글이 너무 반가운데요^^
웃음의 힘이 나타나서 너무 다행이에요.
제가 사실 그렇게 진지한 사람이 아닌데 말이에요 ㅋ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32 [호랑이] chapter 2 : 1인 기업 성공요소 [1] crepio 2011.05.25 2056
2431 응애 67 - 비상 : 다시 쓰는 호랑이 철학 2 [4] 범해 좌경숙 2011.05.25 2459
2430 칼럼. 울타리를 벗어난 아이들 [3] 연주 2011.05.24 2008
2429 변하지 않는 사랑이 있을까? [11] 이은주 2011.05.24 3232
2428 [03] 청춘의 노래 [4] 최우성 2011.05.24 2351
2427 응애 66 - 꿀맛 : 다시 쓰는 호랑이 철학 1 [2] 범해 좌경숙 2011.05.24 2278
2426 스마트웍의 핵심, 팀 리더십 [7] 희산 2011.05.23 3720
2425 남자의 로망, 그리고 도전 [8] 2011.05.23 2169
2424 [Sasha] 칼럼8. 사마천의 주례사 file [17] 사샤 2011.05.23 3219
2423 루미유사 - 효편 [13] 루미 2011.05.23 2178
» "나는 작가다." [18] 미선 2011.05.23 2091
2421 칼럼 08. 반(半)백수 열전 [9] 미나 2011.05.23 2030
2420 [평범한 영웅 008] 나는 왜 국가대표가 되지 못하는가? [10] 김경인 2011.05.22 5569
2419 [늑대8] 나는 피었노라, 나는 이겼노라 [9] 강훈 2011.05.22 1938
2418 나비칼럼 No.8 – 전업주부열전 [13] 유재경 2011.05.22 4048
2417 라뽀(rapport) 52 - 너나 잘하세요 書元 2011.05.22 1926
2416 단상(斷想) 65 - Anchoring1 file [1] 書元 2011.05.22 2033
2415 감자옹심이 콧등치기 [1] 신진철 2011.05.22 2396
2414 [호랑이] chapter 2 표범(희석이 사례 전격 포함)과 호랑이 [3] crepio 2011.05.20 2310
2413 아우라지 강가에서 file [1] 신진철 2011.05.19 2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