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정
- 조회 수 10949
- 댓글 수 156
- 추천 수 0
1. 새벽 시간과 새벽 활동
새벽 시간 :
새벽 활동 : 독서 및 글쓰기, 공부
2. 나의 전체적인 목표
2시간의 새벽 활동을 제대로 습관화한다.
천복 찾기.
3. 중간 목표
책 10권과 독서 기록
4. 목표 달성 과정에서 직면하게 될 난관과 극복 방안
미래에 대한 초조와 불안
좋아하는 일, 잘할 수 있는 일,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천복을 찾는 새벽 활동 자체가 무의미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순조롭지 않은 구직활동과 미래에 대한 걱정 때문에 마음이 많이 흔들릴 수도 있겠다. 200일차에 다양하고 깊이 있는 독서를 통해서 천복 테마를 찾아내는 것을 최종 목표로 정했지만, 새벽 활동의 종류는 상황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하도록 하자. 토익 공부가 필요하다면 토익 강좌를 듣고, 책이 읽고 싶어진다면 책을 읽고, 일기를 쓰고 싶다면 일기를 쓰자. 운동을 하고 싶다면 운동을 하고, 내면 탐색이 필요하다면 그렇게 하자. 가장 중요한 것은 새벽에 깨어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직 활동의 불안과 미래에 대한 걱정이 새벽 활동을 통해 희석되기를 간절히 바라본다.
생활 환경의 변화
하루를 온전히 내 의지대로 활용할 수 있었던 자유로운 생활이 막을 내렸다.
새벽 2시간만큼은 나를 위해 쓰자. 그래야 내가 행복하고, 가족도 행복할 수 있다.
5.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내 삶에서 일어날 긍정적인 변화 묘사
200일차 완주를 했다. 300일차에 갈 수 있게 되었다. 2013년 유일한 목표였던 새벽 기상을 절반은 이루었다. 삶의 방향이 더욱 명확해졌다. 천복을 직업화할 수 있는 로드맵이 그려졌다. 내가 좋아하고 잘하는 일을 하면서 돈을 벌고, 선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삶을 꿈꾸고 있다. 곧 그렇게 될 것이다.
6.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나에게 줄 보상
100만원 상품권.
[
<불안> 어제 쓴 리뷰 다듬고 작성 완료(70분), 책 주제 상상 및 구상 (40분)
효율성이란 강박관념에 시달려 시간이 많이 걸리는 쓰기보다는 읽기에 치중해왔던 것 같다. 리뷰 한 편을 쓰는 데는 4-5시간 걸리지만, 읽는 경우에는 쉬운 책 한 권을 정복할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리뷰를 쓰면서 책을 두 번 읽는 느낌이다. 생각도 정리되고, 힘들지만 계속해야겠다. 엉뚱하게도 책 주제를 하나 떠올리고 목차를 대충 짜봤다. 선택. 생각이 구체화되고 지속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책 읽기에 초점 하나가 생긴 것 같아 기분이 좋다.
[
<100달러로 세상에 뛰어들어라> 215-끝
개인의 열정을 사업화하는 방법. 하고 싶은 것, 직업화할 수 있는 후보들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았다. 문제는 수익성이다. 고객이 원하는 것, 고객도 미처 알아채지 못한 니즈를 파악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나를 양보하고 남이 시키는 일을 하며 안정된 수입을 보장할 것인가, 아니면 현실적 어려움에 봉착하겠지만 내 마음이 시키는 대로 밀고 나갈 것인가. 어제 강심장을 보면서 DJ DOC의
위에 책 추천해달라고 써주신 댓글 지금 봤어요. 주로 고민있을 때 읽었던 책들+ 저 혼자 좋아하는 책들 위주라 어쩐지 편향되어 있고 다 읽으셨을 것 같기도 해서 민망하지만 ^^; 제일 추천드리고 싶은 건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입니다. 얇은 책이지만 마치 할아버지처럼 조곤조곤 일러주는 저자 어투와 맘에 와닿는 여러 내용들을, 쉽게 풀어쓴 말들을 좋아합니다. 곱씹고 읽을때마다 좋아서.. <행복의 정복 / 버트란트 러셀>과 알랭 드 보통의 <젊은 베르테르의 기쁨>은 <불안>처럼 뭔가 민망한 원초적(?) 고민에 대한 나름의 해법을 철학적으로, 가볍지 않지만 이해하기 쉽게, 재치있게 풀어낸 것 같아서 좋아하는 책입니다. 보통의 책은 가끔 너무 재치에 치우쳐 가볍게 넘어가는 부분이 있어서 좀 그렇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위로를 많이 받았어요 ^^; 요즘은 <연금술사/파울로 코엘료>를 반복해서 읽고 있습니다. 동 저자가 쓴 <흐르는 강물처럼>, <인연/피천득>도, 맘이 어지럽고 해결책만 찾다가 지칠 때 보게 됩니다. 읽고나면 맘이 따뜻해져서 좋아요. 또 집에가서 생각나는대로 덧붙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