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이희석
  • 조회 수 2639
  • 댓글 수 12
  • 추천 수 0
2010년 4월 29일 12시 47분 등록

자기계발서 열풍은 옛말이다. 한때는 자기계발서가 출판시장에서 승승장구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영광의 시기는 지나간 듯하다. 필자의 친구는 2009년에 자기경영 서적을 한 권 썼고, 출판사와 계약을 했지만 출간되기까지는 4, 5개월을 더 기다려야 했다. 출판시장 내에서 자기계발서의 매력이 떨어졌기에 적절한 출간 시점을 노린다는 이유에서였다. 자기경영 서적들이 출판계를 이끌던 시대와는 달라진 현상이다. 자기계발서의 힘이 사라진 까닭은 간단하다. 명실상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름과 실상이 서로 부합하기보다는 명성에 비해 거품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기호 소장은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2000년대 독자의 관심은 언제나 '나'였다. 그들은 한 때 '성공'을 꿈꾸었다. 벤처 열풍과 함께 남보다 반 걸음만 앞서가도 물질적 성공을 쉽게 이룰 것으로 보였다. 처음에는 미국발 자기계발서의 속삭임을 듣고 자신을 조금만 변화시키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가 권유하는 것처럼 돈과 부자에 대한 생각만 바꾸어도 가능한 일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는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되어 저자에게 엄청난 부를 안겨다 주었지만, 무수한 개인의 텅 빈 주머니는 결코 채워지지 않았다."


여러분이 이 말에 고개를 끄덕였다면, 자기계발서의 효용에 회의하거나 불신하고 있었기 때문이리라. 지금까지의 자기계발 콘텐츠는 복합적인 인간 문제들을 피상적인 기술이나 단편적인 지식으로 '고치려는' 경향을 지녔었다. 피상성은 자기계발 콘텐츠의 특징이자, 한계였다. 그렇다면, 자기계발 담론이 피상성이라는 한계를 지녔으면서도 오랫동안 사람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나는 3가지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자기계발 강사이고, 좋은 자기계발서를 쓰는 작가가 되고 싶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자기계발 담론에 대한 나름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첫째, 자기계발에 대한 수요가 갑작스럽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것은 시대적 상황이다. IMF 전후로 한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직장인들의 생존 문제는 그 중 하나다. 회사는 더 이상 믿을 수 있는 곳이 못 되었다. '개인의 경쟁력'만이 믿을 만한 것이 되면서 살아남기 위한 투쟁이 시작되었다. 자기계발 수요자의 탄생이다. 문제는 이들의 탄생이 점진적인 변화가 아니라, 이전 시대와의 단절이라 불릴 만한 급격한 변화였다는 점이다. 수요에 공급이 따르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수요가 급증한 곳에서는 공급자들의 역량과 신뢰 문제를 따지기 어렵다. 이 과정에서 거품이 끼어들고 가짜도 돈을 벌기 시작한다. 이처럼, 자기계발 콘텐츠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에 시대적 상황이 한 몫 거들었다.


둘째, 공급자들의 소명 의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공급자들이 가진 문제다. 수요가 있으니 책을 내고 강연을 한다는 식의 지나치게 비즈니스적인 접근을 했던 것이다. 자기계발이라는 교과목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실용적인 연구'를 하는 과목일 것이다. 일부 자기계발서의 저자들은 그런 연구보다는 수요자들에게 '희망'을 파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물론, 누구에게나 희망은 필요하다. 그러나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지혜도 필요하고, 때로는 '자신을 아는 진실'과도 마주해야 한다. 자기계발 저자들은 그러한 진실과 지식을 전하기보다는 듣기 좋은 이야기만을 전하는 쪽이었다. 공급자들에게 '돈'에 초연하라는 것은 결단코 아니다. 돈을 쫓되, 돈을 지불한 사람들에게 그에 합당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는 말이다. (하나의 직업군 안에는 자신의 업을 돈벌이로 보는 이들과 천직으로 보는 이들이 공존한다. 돈벌이로 보는 이들이 훨씬 많아질 때, 그 직업군의 사회적 영향력은 감소한다.)


셋째, 수요자들의 일시적인 판단 착오 때문이다. 이것은 수요자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다. 경제력이 최고라는 생각으로 뽑았던 나라의 리더를 보며 그것은 통합적인 시각이 아니었음을, 우리는 깨닫고 있다. 한해 두해 살아가면서 인생이라는 마라톤을 제대로 달리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시각이 필요하다는 사실도 깨닫게 된다. 자기 철학이 없고,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시각 없이는 성공적인 인생 경영이 힘들다. IMF라는 국난을 맞은 개인들은 '경쟁력'이라는 허망한 단어를 자기 것으로 갖추기 위해 자기계발 독자가 되었다. 이제는 잠시 눈이 멀었던 그들이 정신을 차리면서 자기계발이 아닌 다른 주제의 책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 동안 자기계발서가 잘 팔린 까닭은, 경쟁 사회가 되면서 다급해진 수요자들의 책을 선택하는 안목이 일시적으로 하향 평준화 되었던 까닭이었다. 그 덕분에(?) 수준 낮은 자기계발서도 선택될 수 있었다.


글의 서두에서 난무하다, 피상적이다 등의 자극적인 단어를 쓴 것은 필자가 자기계발 담론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좋은 방법이 관대함이라면, 나를 사랑하는 좋은 방법은 엄격함이다. (엄격함은 자신을 높은 기준에 몰아붙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잘못이나 부족함에 정직하게 직면하는 것을 말한다.) 자신을 돌아볼 때, 엄격하지 않으면 자기 합리화가 끼어든다. 자신의 진실을 받아들이려는 용기 없이는 변화도 없다. 나는 자기계발 강사로서 내가 다루고 있는 담론들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들여다보고 싶다. 진짜와 가짜의 구분이 과연 유용한지, 그것을 가르는 기준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려 한다.


다소 비판적인 글이었다. 한계를 뛰어넘는 위해서는 자아비판이 있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세 가지의 원인에 대해서 썼지만, 앞으로의 글을 통해 두 번째의 원인을 깊이 들여다 볼 것이다. 나는 좋은 공급자가 되고 싶기 때문이고, 다른 두 가지 원인보다 내가 곧장 실행할 수 있는 일들이 많기 때문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지 않은 채, 주변의 일들에 딴죽을 거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이 글들은 자기 일에 딴죽을 걸며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분들이 반가워하는 연재가 되었으면 좋겠다.

IP *.117.195.69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4.29 13:23:43 *.216.38.10
자기계발서의 가장 큰 목적은 서적과 개인, 그리고 읽은 후의 follow-up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것 같아요.
뭐랄까요..  읽을 때만 짜릿한 마스터베이션용 책 같다고나 할까요?
맞습니다. 공급자들의 소명의식이 부족하다는 말, 절대적으로 공감합니다.
한 권의 책을 낸 이후에 그 이후의 독자들의 반응과 개인적 체험을 얼마나 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은 하시는지...
또, 얼마나 변화를 이루고 있는지에 대한 깊은 성찰이 있는지...
그 책을 다 읽고 소화하기도 전에 같은 저자가 다른 방식을 들고나와 이미 책을 읽고있는 독자들에게 배신감은 주지 않았는지...

좋습니다. 그럼, What's next?
프로필 이미지
2010.04.30 18:03:34 *.74.188.162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검증하지도 못한 채 
다른 주장을 들고 나와 독자들에게 배신감을 주는 저자. ^^
그리고 모니터링, 성찰 등의 이야기에 많이 공감합니다.

저는 스스로를 작가라고 부르지 않는데,
작가정신을 가져야 저자가 아닌 작가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작가 정신이 있으면 자신의 책을 관통하는 일관성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 작가 정신을 가져 보고자 본 칼럼들을 쓰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재엽형의 타당한 지적, 반가운 댓글에 감사 드려요~
프로필 이미지
여해
2010.04.29 14:10:50 *.93.112.125
평소 생각을 말하면,
자기 계발서에 자기가 빠진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느낌을 받았어.
책을 위한 책으로 머문 한계가 보였지.
이 한계를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진정성이고,
저자가 내용의 증거가 되어야 한다고 봐. 
최근 용규님이 마음편지에서 쓴 글이 좋은 해답이라고 생각해.

"입신양명에 몰두하거나 현학의 즐거움을 채우는 것보다 민중의 삶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책을 구상하고 쓰기"
프로필 이미지
2010.04.30 18:08:12 *.74.188.162
평소의 생각을 이리 알려 주시니 아우는 더욱 힘을 얻습니다.
자기계발은 자기발견이 이뤄진 후에 더욱 효과적이 된다,
는 주장으로 글 하나를 쓰려던 참이었거든요. ^^
여해 형님의 '평소의 생각'을 자주 들려 주시면 엄청 도움 되겠는걸요.
진정성, 참 좋아하는 단어입니다. 이것을 담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지현
2010.04.29 16:10:22 *.207.110.15
200% 공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4.29 16:27:17 *.53.82.120
마약처럼 자기계발서를 투약해대던 한 시절을 기억하는 사람으로서..
내 마음을 중독시켰던 그 '약'과 '약장수'의 본질을 파헤쳐줄  다음이야기
진지하게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4.29 16:33:23 *.216.38.10
ㅋㅋㅋ. 마약처럼... 절대공감!
프로필 이미지
2010.04.30 18:10:06 *.74.188.162
좋은 비유 하나를 알게 되었네요. ^^
약과 약장수에 대해 고민을 자주 하니
정답은 아니더라도 진정성 있는 글을 써 나갈 용기는 생깁니다.
고마워요~ 미옥 누나.
프로필 이미지
정예서
2010.04.29 17:43:00 *.71.76.251
오늘 햇살이 좋다라는 문장을보고 커튼을 젖힐 동기가 부여 되었다면,
그것으로도 훌륭한 자기계발서겠지. 
책을쓰고자 하는 이들의 좋은 고민이다.  
프로필 이미지
2010.04.30 18:11:40 *.74.188.162
자기계발서를 펼치는 독자로서의 마음을 다룰 기회가 되면
예서 누님의 이 표현을 빌어다 쓰고 싶네요. ^^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4.29 18:26:43 *.163.127.53

고민하는 것은 좋겠지만  자책할 필요는 없겠지!
무엇이든 진화하니까? 
서비스도 받아본 사람이 더 까다롭지... 
아마도 요구수준보다 진화수준이 더딘까닭이겠지...

나는 고급관리자들의 '인성교육'을 한적이 있는데
사실은 그것은 타이틀일뿐이고  교육같은 것은 한 적도 없다. ^^ 
그냥 높낮이 없이 같은 입장에 서서 (존중과 공감, 그리고 책임의식을 가지고) 사실을 이야기했을 뿐이다.

인성교육이  자기계발이 한 두시간 책 한 두권으로  해결된다면야...
그 인간의 인성은 정말 별볼일 없는 거지...?  아니면
세상이 폴쎄  아름다워졌겠지... 
 
무엇을 할 것인가와  언제, 어떻게 할것인가는  전혀 다른 문제지
발화시키는 것과  지속시키는 것은  다른 문제라는 거지... 접근방법도 관리방법도
발화야 감동이나 공감이 필요하겠지만,  지속은 습관과 인내심과 냉정한 감시자가 필요하지... 않을까?^^

그래서 난 회사에서 '교육팀'이라는 말을 싫어했지..
그들은 늘 자신이 긍지를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정보(노우하우)를 제공하는 것으로 만족하려했기 때문에...
난 발끈해서 교육팀이라는 명칭 자체를 없애고 '인력개발'이라는 말로
선발에서 교육 현장 배치 평가 재교육  성과까지  모두 책임지라고 방방 떳지?!! ^^
내가 좀 무식하거든...

자기계발도 좀 진화를 해야겠지...
 인문학적인 감성도 중요하지만  구체적인 접근의 방법론도  필요해진 것 처럼...  
아니면 도태되겠지...  

희석이야,,,  줏어듣고 책을 외워서 하는 것이 아니잖아...
늘 경험하고 생각하고 정리하고 또 정리하쟎아 ... 행동으로 .... 기억하고 있지...
그것들이 비언어적인 포스가 되지 ... 느낌이 다르지 사람들은 이유는 모르지만 느낄 수는 있거든... 
그런사람들의 말은 살아있지...  스승님 처럼  조용조용해도 ^^  겁나거든...  경외하지 ...
두려워하면서도 좋아하는 그 감정...  

희석의 목소리에도 그 살아있는 힘이 있지...
난 그걸 느껴... 좋은 에너지 힘이되는  그거 있잖아... ^^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4.30 13:12:36 *.30.254.28
읽어야 할 책을 반도 못읽고, 발등의 불을 해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고맙습니다.'.하고 댓글 달게 하는
좋은 글의 힘!!...감사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9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7 : 알고 있니? [8] 백산 2010.05.04 2720
1591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6 : 잘 할 수 있다. [4] 백산 2010.05.03 2361
1590 컬럼 8. 史記와 축구의 성격 차이 [7] 박상현 2010.05.03 2501
1589 [컬럼] 인재, 재능과 본능의 조합 [10] 우성 2010.05.03 2611
1588 <꿈을 실천하는 힘3>당신은 왜 이곳에 왔나요? [8] 조화 선형 2010.05.03 2609
1587 칼럼 8. 사마천과 베토벤 [11] 낭만 연주 2010.05.03 2446
1586 칼럼8. 사업 기록 [8] 맑은 김인건 2010.05.03 2623
1585 나의 터닝 포인트 [8] 이은주 2010.05.02 2466
1584 [패러독스경영 2] '행복의 비밀' (종결) [4] 송창용 2010.05.01 2411
1583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5 백산 2010.04.30 2496
1582 수유공간 너머 Chapter 4: 멀리 가는 법(갈등해소) [2] 정예서 2010.04.29 2597
» #2. 피상적인 자기계발 콘텐트가 난무했던 까닭 [12] 이희석 2010.04.29 2639
1580 [패러독스경영 2] '행복의 비밀' (4) [4] 여해 송창용 2010.04.29 2569
1579 컬럼2-3: 따뜻한 IT file [11] 희산 2010.04.29 2485
1578 <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 - 애드거 앨런 포우 > 2. [8] 정재엽 2010.04.29 2778
1577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4 [7] 백산 2010.04.28 2437
1576 소심인으로 사는 3단계 방법 (2) - 1단계 [2] [2] 차칸양 2010.04.28 3464
1575 가장 짧은 거리로 무찔러라 - 글쓰기 생각 2 [6] 부지깽이 2010.04.28 3026
1574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3 [5] 백산 2010.04.27 2720
1573 [패러독스경영 2] '행복의 비밀' (3) [11] 송창용 2010.04.27 2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