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최우성
  • 조회 수 2537
  • 댓글 수 12
  • 추천 수 0
2010년 6월 7일 11시 57분 등록

배움, 즐거운 전문가의 길!

멈추는 자는 늙은이다.  책을 읽거나 호기심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내가 이토록 무지하다는 것’과 ‘세상엔 참 배울 것이 많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게 된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21세기 문맹자는 글을 읽을 줄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학습하고 교정하고 재학습하는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에 의견에 따르면 끊임없이 배우는 자는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젋은 사람이고, 늘 그대로인 자는 늙은이가 된다. 나는 늙은이가 아니라 지혜로운 노인이 되고 싶다.


배움에는 끝이 없고, 대부분의 직장인들도 배움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우리가 계속 배워야 하는 이유는, 오늘의 문제를 어제의 해법으로 풀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좋은 직장의 기준으로 삼는 설문지에서 빠지지 않는 항목은, ‘교육기회의 제공을 통한 자기계발 기회’다. 의료기관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아서, 대부분의 직원들은 ‘교육기회의 제공’에 목말라 한다.(의사들은 해외연수,세미나 등으로 배움의 갈증이 덜하다) 그나마 약사, 간호사, 의료기사 들은 교육이 의무화되어 있어, 행정직 종사자들은 상대적인 교육기회의 박탈감을 더 크게 지니고 있다. 교육투자에 있어 직종간 차이도 있으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처럼,  대형병원과 중형병원의 차이 또한 극명하다.


질 높은 교육훈련과 체계적인 경력관리가 조직적으로 수행되는 대형병원에 비해, 중소병원들은 교육훈련의 기회가 적고 근무하는 직종에 따라 편차가 크다. 특히 지역의 동네 병의원들은 기본적인 친절교육도 못시키는 것이 현실이며, 직무교육과 훈련의 기회가 전무 하다고 볼 수 있다. 규모가 작은 병원일수록 인재 한 사람 한 사람이 끼치는 영향이 크고, 그것이 바로 병원의 핵심경쟁력임에도 인재개발의 여건은 열악하다. 교육훈련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함으로 인해 핵심인재를 큰 병원에 쉽게 빼앗기고, 조직의 생산성과 경쟁력은 떨어지는 악순환이 지속된다.


교육여건이 좋은 병원에서 많은 교육기회를 제공받고 있다면, 그 축복을 마음껏 누리면서  자기계발에 힘쓰면 된다. 대부분 병원들의 직원들은 더 많은 교육, 강좌를 받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경영이 어려우면 교육훈련비에 인색할 수 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사람에 대한 교육은 인건비가 아니라 투자’라는 훌륭한 경구도, 나날이 우하향 하는 경영수익 그래프 앞에서는 힘을 잃어버리게 마련이다. 그러나 타율적인 교육의 기회가 없다고 해서 자율적인 배움의 기회마저 없는 것은 아니다. 자신을 위해 스스로 시간을 내서 공부하고 기록하고 연구하는 것은 시행착오를 거칠 수 밖에 없기에 더 귀한 배움의 방식이다. 그럼 교육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배워야 가장 잘 배울 수 있을까?


미래학자 나이스비트와 만난 자리에서, '미래가 뭐냐'하고 묻자 '미래는 교육'이라고 하더라.

'그럼 교육은 뭐냐'고 되묻자, '교육이란 배우는 법을 배우는 것(learn to how to learn)'이라는 것이다.

이게 핵심이다. 단편적인 지식은 기억할 필요가 없다.
배우는 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교육의 본질인데, 우리의 공교육은 지식 암기에 치중하는 것 같다"

- 삼성전자 윤종용 고문 -


‘교육이란 배우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는 미래학자의 정의는 명쾌하고 깔끔하다. 변화경영연구소 6기 연구원 과정에 임하면서, 나는 나이스비트의 ‘교육의 정의’를 실감했다. 지금껏 살아오면서 단 한번도 연구원 형식의 교육을 경험해 본 적이 없었다. 교육은 무엇이든 많은 것을 알아야 하는 것이라는 강박관념에 빠졌었는지도 모르겠다. 진정 알아야 할 것은 다 알기도 전에, 몰라도 되는 것들에 쫓기고 있는 것이 나의 모습, 우리의 모습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교육은 밖에서 주는 것이 아니다. 빈통에 물을 가득 채우는 것이 아니라, 내면에 감춰진 배움의 불씨를 스스로 지필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인류 최고의 강사들이 남겨놓은 무지막지한 높이와 깊이의 책들을 하나씩 뛰어넘으며, 주도적으로 배우는 법을 조금씩 익혀나가는 것, 고통과 함께 만나는 독학의 즐거움을 맛보게 되었다.


재충전과 학습없이 늘 소모만 해서는 전문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일하면서 얻는 노하우와 근무년수가 늘어나면서 얻게 되는 자연적인 발전만 갖고는 누구든지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다. 그러나 조직에서 실시하는 교육도 천편일률적인 경우가 많다. 나는 비교적 교육여건이 좋은 조직에 속해 있었고, 제법 많은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회사에서 실시하는 교육의 질은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교육주관자는 참석하라고 강요하고, 체크하고, 문자까지 보내며 출석율을 따지지만, 교육의 효과는 어느 누구도 알수 없다. 그것이 타율적 교육의 한계다.  재미있고 가치있는 교육을 제공하여, 듣는 사람과 안 듣는 사람간에 실력차가 나게 해주면 좋겠지만 그것이 어디  쉬운가? 모든 이들을 만족시키는 교육은 있을  수 없다. 

인간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성장과 학습에 대한 욕구가 있기 마련이다. 이것을  채워줄 수 있는 병원에서 근무한다면 행복한 사람이다. 그러나 재정적 여유가 부족한 가난한 병원에서도 성장과 학습에 대한 욕구는 독학으로 채울 수 있다. 독학은 자율적이기에 성장과 학습의 욕구를 뛰어넘는 창조의 기쁨으로 확장될 수 있다.  더욱이 배움은 우리를 전문가의 길로 끌어준다. 즐거운 전문가가 되려면, 배우고자 하는 것이 명확해야 한다. 그래서 스승님의 말씀은 늘 가슴에 담겨있다.


“다수를 위한 교육은 평범한 행정가를 만들어 내는 것에 그칠 뿐이다.
그러나 스스로 배우는 독학은 배움의 즐거움을 느끼게 할 뿐 아니라 결론적으로 차별적인 전문가의 길로 안내해 준다. -구본형-”


컬럼 취지 ; 백범 선생이 늘 강조했던, 교육과 배움의 정신을 생각하며!

IP *.30.254.28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6.07 13:08:50 *.236.3.241
 배움을 즐기고 배움에 민감한 형의 스타일이 잘 배어나온 글이네요^^

스스로 묻고 답을 찾아가는 연구원방식이 쉬운 건 아니지만 형 말대로
성장과 학습의 욕구를 증진시키는 면에서는 확실히 신선한 자극을 주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배움의 욕구가 충만한 동료를 만나게 되어 참 든든합니다 ^_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6.08 23:30:30 *.34.224.87
배움의 결과가 뛰어난 동료를 만나서
난 더욱 배운다네...내가 더 든든하지..ㅎㅎ
프로필 이미지
낭만연주
2010.06.07 19:04:42 *.171.205.225
" 우리의 공교육은 지식 암기에 치중하는 것 같다"
이말에 백배 공감입니다.  지금 세상이 요구하는 것은 이게 아닌데...현장에서는 이것을 위해 더욱 달려가는 느낌입니다. 일단...그리고 실용학문이라는 국,영,수,사,과, 아니면 대접을 받기가 힘들어서 지금 당장 제가 설 자리도 위협받고 있는 중 ㅎㅎ
그리고 아이들을 가르치기이전에 교사들도 질높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아야 마땅한데...현실은...
오빠의 글을 읽으면 의료현장이나...학교현장이나...비슷한 것같아요.
좋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은 병원직원이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듯...교사들도 좋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는다면 그분들이 강조하는 더좋은 서비스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텐데요..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6.08 23:31:46 *.34.224.87
학교, 병원은 대표적인 비영리조직...
그래서 비슷할지도..
그래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요구받는...홧팅하자..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6.09 00:02:29 *.129.207.200
좋네요.

'배우는 법을 배우는 것이 교육'

저희 가게도 친절서비스를 한번 해야겠다는 생각합니다. 강사 초빙해서, 1시간 ~ 2시간 교육 받으면 그리 큰 비용도 아니더군요. 그런데, 하지를 않아요. 왜냐면, 동종업계 다른 사람이 안하니까, 그리고, 지금까지 안해왔으니까.....사업 사람은 많은데, 생각하며 사업하는 사람은 많지 않아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6.09 11:47:15 *.30.254.28
* 외식업 배움 아카데미를 하는 전문식당의 경영자도 좋지..
  실험하고 모색하고, 고민하는 건의 모습이 보인다.. 홧팅하자..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6.09 00:26:56 *.219.109.113
난 지금가지 배우는 일이 참으로 즐겁고 의미있는 것 같아 그래서

배움의 길을 놓지 못 하고 있는 것 같아. 앞으로도 계속 배우며 살아 갈거야.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0.06.09 02:03:33 *.67.223.107
우성씨는 참 우성답게 글을 써내려가는군요.
그리고 유끼는 공부를 좋아하고 또 즐기는 것 같아요.
서로 주고받으며 함께가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유끼는 똘똘하다시더니....정말 그러하군요.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6.09 11:48:54 *.30.254.28
 과찬이십니다. 
 열심히 해서 가오기의 뒤를 잇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6.09 07:20:14 *.53.82.120
ㅎㅎ
오빠 안에는 스스로를 가르치는 스승님이 들어계시는군요.  ^^
행여 다른 길로 갈세라 노심초사 正道를 일러주시는...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6.09 12:48:19 *.53.82.120
그 스승님도 이젠 안심하고 계시지 않을까요?
잠깐 조시는 틈을 타서 바람 쐬고 오셔도 좋을 듯..
어쩜 일부러 눈감고 계시는지도 몰라요.
이때를 놓치지 마세요!!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6.09 11:49:57 *.30.254.28
노심초사 하는 줄
어케 알았니? ㅎㅎ
나중에 심리학 쪽으로 나가도 될 듯...emoticon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9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2 은혜로운 이에게 묻습니다. [6] 백산 2010.06.08 2508
1691 새벽 기상 [3] 書元 2010.06.08 4081
» [컬럼] 배움, 즐거운 전문가의 길! [12] 최우성 2010.06.07 2537
1689 <꿈을 실천하는 힘7> 함께 가기 [13] 이선형 2010.06.07 2243
1688 칼럼 14. 2년전 나에게 말하다. [17] 맑은 김인건 2010.06.07 2496
1687 컬럼 13. 백범 김구, 자기 해방의 키워드 [14] 박상현 2010.06.07 2691
1686 제 친구들과 인사 하실래요? file [12] 이은주 2010.06.06 4689
1685 칼럼 13. 리틀 김구, 예준. [11] 낭만연주 2010.06.06 2603
1684 라뽀(rapport) 13 - 당신도 털어놓고 싶으신가요 書元 2010.06.06 2346
1683 감성플러스(+)-15호 Happy rebirth to you! file [7] 자산 오병곤 2010.06.05 2502
168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1 절대라고 맹세하지 말라 [1] 백산 2010.06.05 2572
1681 [킹핀] 4. 모든 것은 그것과 비슷한 것이 아니라 상반된 것을 필요로 한다. [4] 송창용 2010.06.04 2525
1680 응애 12 - 나는 너를 세상의 중심에 두었다 [16] 범해 좌경숙 2010.06.03 2928
1679 심스홈 이야기 5 - 집 꾸밈에 필요한 '품' 3가지 (2) file [1] 불확 2010.06.03 2862
1678 [진심] 우리의 두뇌는 수렵기에 머물러 있다 file [1] 박승오 2010.06.03 10029
1677 그림 한점과의 망중한(忙中閑) [2] 書元 2010.06.03 2639
1676 칼럼12. 내가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설레임 !! [1] 낭만연주 2010.06.02 3000
1675 [먼별2] 필살기 수련6 <단군의 후예들 1주차 이야기> [2] 수희향 2010.06.02 2424
1674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0 내가 묻고 있는 것은 가능성이 아니라 확신이다. [4] [2] 백산 2010.06.01 2709
1673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9 그 사랑이 끝나면 [6] 백산 2010.06.01 3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