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이선형
  • 조회 수 2557
  • 댓글 수 9
  • 추천 수 0
2010년 9월 13일 11시 48분 등록
 ‘산을 옮기는 것은 이론이 아니라 트랙터이다.’

 - 피터 드러커, <공익을 경영하라>에서 재인용 -


  연말이 되면 대형 서점은 물론 동네 문구점에까지 항상 다이어리 코너가 만들어진다. 아기자기한 팬시 수첩부터 두툼한 책 같은 플래너까지 각양각색의 수첩들이 전시되고 사람들은 각자 취향대로 탐색하기 분주하다. 크리스마스카드나 연하장처럼 연말연시의 분위기에 맞추어 왠지 치러야할 통과의례 같기도 하다.

  수첩을 하나씩 골라들고 계산대 앞에 서는 사람들의 마음에는 어떤 생각들이 들어있을까? 내년에는 행복한 목표와 기록들로 이 수첩을 가득 채워 넣으리란 다짐들로 뿌듯하진 않을까. 다이어리를 처음 펼치면서 깨끗한 글씨로 새해 목표를 적어놓고 실천을 다짐하진 않을까.

  그런데 이렇게 사들고 간 수첩이 과연 얼마나 오랫동안 의미있게 쓰여질까? 꿈과 희망을 담은 다이어리를 일 년 내내 펼쳐보며 꿈에 다가가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개인 컴퓨터를 활용하여 스케줄 관리를 하는 사람들도 많고 이제는 스마트폰까지 등장하여 점차 종이수첩을 사용하는 사람이 줄었는지도 모른다. 수첩에 약속이나 다음 일정을 적어 넣는 사람이 왠지 촌스러워 보이는 것도 요즘 풍경이다.

  그래도 나는 그 적어 내려가는 느낌과 펼쳐보는 느낌이 좋아 오랫동안 다이어리를 써왔다. 연말에 회사에서 나누어주는 회사 수첩으로 마음에 차지 않아 두툼한 플래너를 거액을 주고 구입하여 거의 매일 빼곡하게 기입해 왔다. 업무기록을 적지 않는 팀원에게 개인 비용으로 플래너를 사서 선물하고 플래너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를 열성으로 설명하기도 했을 만큼 기록의 신봉자였다.

  회사를 그만둔 후에도 그냥 버리기에 아쉬워서 모아두었던 플래너를 박스에 담아 집으로 가져왔다가 이사를 준비하면서 다시 플래너를 흟어보게 되었다. 플래너를 살펴보다가 새삼 놀란 것은 이 많은 빼곡한 기록들 중 ‘나만의’ 이야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는 점이다. 온갖 회의와 업무와 보고서 초안과 업무상 아이디어, 그리고 매일매일의 ‘DO LIST'가 적혀있었고 간간이 잊지 말아야할 결혼식이나 생일 등 행사들이 적혀 있었지만 그 당시 내가 고민하던 문제와 내 삶의 전체적인 모습들은 찾기 힘들었다. 그냥 열심히 살았다는 확인과 회사 일에 대한 엄청난 몰입을 읽을 수 있을 뿐이었다.

  내가 회사에서 일정부분 역할을 감당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몰입과 매일매일, 일상의 힘이었구나 하고 새삼 깨닫게 되었다. 반면 회사에서의 역할에 충실했던 것과는 달리 나 자신의 삶과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과 변화를 위한 노력이 없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내친김에 작년 퇴사 이후 다시 쓰기 시작했던 작은 개인다이어리를 펼쳐 보았다. 7월부터 띄엄띄엄 적혀있는 기록과 짧은 생각들은 새벽기상을 시작하면서 보다 풍성해졌고 10월부터는 매주 목표와 실천기록을 남기며 더욱 알차짐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한 가지 급한 일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해야 하는 역할들과 하고 싶은 일들, 그리고 급하진 않지만 매일 조금씩 해야 하는 일들을 골고루 챙길 수 있어서 참 좋았다는 것을 떠올렸다. 월마다 주간마다 적힌 기록 외에 떠오르는 단상들과 꿈에 대한 고민들까지 주욱 적힌 것을 가끔씩 펼쳐보며 생각을 깊게 했던 것도 좋았던 부분이다.

  그러나 내 꿈과 욕망을 기록하며 또한 매일의 일상을 통해 꿈으로 다가가던 기록이 어느 순간 점차 사라지는 것도 볼 수 있었다. 5월까지 빽빽하던 메모들은 6월이 되자 점차 빈 공간이 많아지더니 어느 순간 백지가 되었다. 돌이켜보니 매일 일상의 기록이 사라지는 것과 함께 하루하루 치열하게 즐기고 노력하던 나의 마음가짐도 사라져간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 다르겠지만 혼자 스스로 일상을 경영하고 발전하기에는 아직 많이 부족한 나는 나에게 맞는 도구와 상황의 도움을 받아야 함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다.


  매일매일 스스로를 움직이지 않는다면 나는 매일 저 높은 산을 바라보면서 한숨만 쉬는 어리석은 존재가 될 수밖에 없고 내 생각과 말, 그리고 꿈은 점차 나의 행동과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지금 내가 읽고 느끼고 배우고 결심하는 이유는 나의 몸으로 행동하기 위함이요, 몸으로 행동하고 실천함으로써 나아지기 위함이다.

  이것이 내가 산을 옮기기 위해 지금 삽을 손에 쥐고 작은 돌멩이부터 옮겨야 하는 이유이다.
  다시 오늘 하루를 열심히 기록하자. 그리고 그 기록을 나누고 더욱 풍성해지자. 다시 매일 블로그와 다이어리를 쓰자. 


산을 옮기는 사람은 작은 돌멩이부터 옮긴다  (중국 속담)
 
 

 

IP *.230.26.16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9.13 12:53:26 *.236.3.241
선이 새벽 기상을 열심히 실천하던 시절, 매일매일 업데이트되던 새벽기상 일지, 독후감이며 칼럼들이
눈에 선하구나. 새벽  찬 공기와 함께 전해지던 문자에서 존재의 조그만 움직임들이 들려져 참 좋았다.

가을이 되었으니, 너의 계절을 맞았으니 뽀송뽀송해진 머리를 함 열어 보드라고^^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09.13 15:03:03 *.186.57.251
노트정리를 잘하는 사람과 공부를 잘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긴 하드라만,
그래도 분명한 것은 시험철이 되면, 주변에서 밥사주고, 술사주겠다고 나선다.
그 공책한번만 빌려달라고.. 선형이 인기좋았겠다. 보통 짝꿍한테는 공짜로 빌려주기도 하던데....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9.13 15:09:58 *.10.44.47
그래도 노트정리 잘 하는 사람덕에 여러사람이 학고를 면했던 것만은 확실하죠. ^^

언니, 저도 기대할께요.
조용히, 그러나 누구보다 찬란하게 열리는 언니의 새로운 계절!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9.14 02:13:01 *.129.207.200
무언가 해야할 일이 명확하지 않으면, 좀비처럼 어영부영 돌아다녀요. 리스트가 있으면, 의식이 집중되면서 눈빛까지 빛나지요. 할 일이 무엇인지 안다는 것, 어디로 가야할 지 안다는 것은 참 중요해요. 

요 몇년간 제 내면 탐색에 골몰했어요. 요즘에서야 내면에서 빠져나올려고 하지요. 누님이 회사에서 적었던, TO DO LIST가 제가 지향하는 바입니다. 서로 반대네요. 저는 빠져나오고, 누님은 들어가고. 

개인의 내부적인 것이든,이를 테면 자기개발, 혹은 외부의 것(육아, 청소, 회사일...)이든 다이어리가 할 일로 빼곡한 상태는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를 알 수 있는 방법은 행동을 통해서만 드러나는 법이니까요. 

사진을 보니, 정리를 잘하시네요. 노트 정리 대회가 있다면, 입상하실 정도....저는 막수첩에다가 휘갈겨 버리는데.
정리를 잘하면, 보기도 좋지만, '정리란' 그 사람의 정서상태인 것 같아요. 손님들이 밥 먹고 난뒤 테이블 모습을 보지요. 밥 먹은 모습을 보고도, 그 사람의 정서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담배 피우고, 술 마시는 사람은 이상하게 더럽게 먹어요. 말끔하게 생긴 사람은, 생긴대로 깨끗이 먹고 나가고요. 

정리'라는 것이, 계획과 해야할 일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내주기도 하지만, 내 영혼을 청소하는 도구가 될수도 있음을 느낍니다. 실제로, '청소력'이라는 책을 보면, 이혼하고, 정리해고 당한 저자가, 단지 청소만으로 재기에 성공한다는 내용이지요. 

누님은 도구가 두개요. 

1.TO DO LIST
2. 정리.

글이 점점 부드러워지는데요. 저희 가게 얼마전부터 '죽' 팔고 있는데요. 잘 팔려요. 죽 한그릇 먹은 느낌? 

프로필 이미지
2010.09.14 06:52:13 *.160.33.180
선형아,  
이 글에 대하여 아래 몇가지를 해 보도록 해라. 

1.   문장마다,  반복되는 단어를 제거해 내라.   예를들면 다이어리라는 말이 몇 번들어가는 지 보고 한  문단에
      한번 이상 쓰지마라.  
2.  네가 쓰는 단어를 잘 들여다 보고,  동어 반복이 나오는 것을 제거해라.  예를들면 매일매일,  ... 마다...마다
3.  단어를 엄선해라.  즉 네가 좋아하는 단어로 그 단어를 대체해라. 
4.   네가 좋아하는 꼬냑을 한잔 먹은 기분으로 박수를 치고  문장마다 리듬을 좀  주도록 해라.   

생각은  머리로만 하는 것이 아니다.  눈과 손과 네 몸 모두로 하는 것이다. 육체의 근육하나 하나를 활용해라. 
가벼운 바람에 치마가 살랑이듯  써봐라.      
프로필 이미지
선형
2010.09.16 14:33:35 *.230.26.16
넵!
주신 지침 소중히 받아 열심히 다시 써보겠습니다.
가볍게 살랑이듯 다시 써보겠습니다.
...
지금 제가 컴퓨터 상황이 문제가 좀 있어서 이제야 댓글을 답니다.
제 상황도 좀 문제가 있고 어렵습니다.
그래도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낭만
2010.09.14 12:30:53 *.203.200.146
 "몰입과 매일매일, 일상의 힘"
그토록 소중한 가르침인데 실천하기가 쉽지가 않아요.
'기록과 정리' 저에게 지금 실천해야되는 항목 1순위이죠.
그래서 시작했습니다.
학교라는 공간에서는 삶의 기록과 삶속에 내가 벌려놓은 어수선한 것들에 대한 정리!!!
"愚公移山" 가르치면서도 공허한 울림만 계속되었군요.
예전엔 어리석은 늙은이라고 쯧쯧 혀를 찼던 것같아요.
이제는 그의 우직함과 성실함으로 시작하렵니다^^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9.14 14:16:38 *.42.252.67
선형이의 수첩을 보고 입을 다물지 못했던 스타벅스에서의 감동이
여기에 펼쳐져있네.
이렇게 정리를 예브게 잘 하는 것도 너만이 가지고 있는 재주야.
꼼꼼히 정리하고 사진 직고 나중에 예쁜  책으로 묶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어.
나도 요즘 내 생활의 이야기나 사진, 그리고  스케치를 배워  가는 곳 마다의
느낌을 스케치해보고 싶은 마음이었거든.
열심히해봐. 뭐든 말야. 오랜시간 소장한 것들은 남들이 금새 따라 할 수 없는
소중한 보물이 되어줄거야.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9.15 18:14:08 *.30.254.21
미래는 여성의 시대...라는 말을
눈으로 확인하게 하는 선형..

왠지..
넌 좀 더 도전적인 목표를 지녀야 할 것 같은 느낌..ㅎㅎ
스승님의 말씀이 이제야 이해가 가는...ㅎㅎ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2 4차오프과제-<그리하여.... 그 꿈이 이뤄지게 된 날> [10] 박경숙 2010.09.20 2467
1891 감성플러스(+) 24호 - 혼자 먹는 밥 file [12] 자산 오병곤 2010.09.20 3386
1890 9월 오프라인 수업- 미래의 트랜드 설계 [5] 이은주 2010.09.20 2363
1889 9월 OFF 수업: 나의 꿈, 미래 디자인하기~ [7] 낭만연주 2010.09.20 2617
1888 칼럼, 3개의 트렌드와 3대 풍광. [3] 맑은 김인건 2010.09.20 2376
1887 32+ 3 오똑한 코, 소정이^^ file [4] 백산 2010.09.19 5740
1886 응애 34 - 그리스인이 들려주는 그리스신화 [6] 범해 좌경숙 2010.09.19 2849
1885 응애 33 - 박정대 [5] 범해 좌경숙 2010.09.18 3138
1884 심스홈 이야기 14 - ask 커튼 file [3] 불확 2010.09.18 2916
1883 이제는 말할 수 있다 - ‘히로마쓰스다에償’에 숨겨진 비화秘話 [2] 신진철 2010.09.17 2496
1882 32+ 2 한 가족 file [3] 백산 2010.09.17 2208
1881 32+ 1 스승님 file [4] 백산 2010.09.16 2305
1880 잃었던 기억 [1] 백산 2010.09.16 2312
1879 32+ 시험가동 file [4] 백산 2010.09.16 2309
1878 세상을 바꾸는 대안기업가 80인 [1] 신진철 2010.09.16 2882
1877 내일이 미라의 생일이다 [3] 신진철 2010.09.14 2702
1876 응애 32 - 잠그림잠그림잠그림......잘그림 file [13] 범해 좌경숙 2010.09.14 3646
» 지금 삽을 손에 쥐는 이유 file [9] 이선형 2010.09.13 2557
1874 [컬럼] 변화와 혁신의 길 [6] 최우성 2010.09.13 2223
1873 빠삐용 그 후 : Kill the holy cow [8] 박상현 2010.09.13 3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