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박상현
  • 조회 수 2263
  • 댓글 수 8
  • 추천 수 0
2011년 4월 19일 16시 04분 등록

하루 밤의 꿈

 

당신이 보여요. 당신이 보이니까 내가 보이네요.” 어둠 너머에 대고 말했다.

내가 내가 아니라는 게 뭐죠?” 그녀가 물었다.

웃지 마세요. 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1세입니다.” 그녀는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미친 놈 같죠. 그래서 힘들었습니다.” 정적이 순식간에 공간을 채웠다. 벌레소리며 부엉이소리가 어색한 정적을 달래주었다. “당신 덕분에 뭘 해야 할 지 알았습니다.” “그게 뭔데요? 딸꾹.”

 

김봉남으로 사는 것. 과거에 현재를 헌납하며 살았습니다. 그런데 김봉남이 그렇게 잊지 못한 나폴레옹은 자신이 누운 한 평 영토에서도 평안을 모르는 미숙아였습니다. 조국을 위해 세계 정복에 나섰지만 정작 제 영토는 없었던 거죠. 또 한번의 생은 안식의 영토를 확보하라는 특명이었어요. 내가 세계의 창조자임을 간과하고 육신에 갇혀 부활한 정신을 타박했어요.”

 

나는 육체가 부활하고, 당신은 정신이 부활했으니 부활이 우리의 인연인 셈이네요.” 그녀의 목소리에 생기가 돌았다. “그러게요. 어렵게 만났는데 만나자 이별이네요.” 무심코 나온 말이 기정사실이 되었다. 말이 세상을 만든다. 마지막 밤이다. 마지막

 

따뜻한 밥 한 술 대접하고 싶네요.” 허공을 향해 말했다.

밥이요? 나 알잖아요.” 그녀의 목소리는 그새 잦아들고 있었다. 바지 주머니를 만져봤다. 묵직한 게  그대로 있었다. 목소리가 난 쪽으로 네발 달린 짐승처럼 느릿느릿 기어갔다. 그녀가 있을 법한 곳에 이르러 주머니에서 물건을 꺼냈다. 상처가 나지 않은 오른 손바닥 정중앙에 칼을 그었다. 이번에는 좀 더 깊었다. 뭐 하는 거에요?” 그녀가 당황한 듯 물었다.


발원지를 확인하고 손바닥을 갖다 대었다. “갓 데워져 먹을 만해요.” 손바닥을 떼려 실랑이를 벌이다가 피 한 방울이 입 속으로 들어갔는지 꿀꺽소리가 났다. 그 다음은 피에르가 그녀의 목을 빨았을 때와 같았다. 신통치 않은 젖을 빨 듯 그녀는 안타깝게 한 방울 한 방울을 갈구했다. 목젖이 위아래로 연동할 때마다 몸 안의 기운이 쭉쭉 빠져 나갔다. 정신이 아득해졌다. 정신 없이 손바닥을 빨던 그녀가 미세한 손의 떨림을 감지했는지 살며시 손을 내려놓곤 입을 쓱 닦았다. “미안해요. 손목의 핏줄이 아른거려 일 내겠어요.” 그녀는 한 손으로 머리를 받치고 다른 손으로는 뼘을 어루만지며 나를 바닥에 뉘였다. 상의를 벗는지 지퍼 내리는 소리, 소매에서 팔 빼는 소리가 이어졌다. ‘~’ 무언가를 찢는 소리가 들려왔다. “지혈을 해야겠어요.” 그녀는 팔을 더듬어 상처부위를 찾고는 티셔츠의 옷감으로 잽싸게 상처를 감쌌다. 찢긴 소매 밖으로 드러난 팔이 뺨을 스쳤다. 부드럽고 서늘한 기운에 목젖이 뻣뻣해졌다. 나를 내려다보는 그녀의 얼굴이 허공에서 아른거렸다. 보이지 않아도, 말하지 않아도 느끼는 게 있다. 우리는 그것을 느꼈고 감각의 롤러코스터에 탑승하느냐는 선택사항이 아니었다. 지금 여기에 부활의 인연으로 갇혔을 때 방아쇠는 이미 당겨진 것이다. 허공을 맴돌던 손가락에 굳게 다문 입술이 걸렸다. 우유빛깔 분례의 것이었다. 진즉 사위었을 몸뚱이 하나를 지탱하기 위해 탄식의 고개에서 수 없이 넘어지고 일어섰을 떠돌이 분례가 거기 있을 터였다. 속을 드러낸 그녀의 입술이 긴장으로 오므라진 입술 위를 감쌌다. 미풍처럼 비린내가 걷히고 습기를 머금은 혀가 그 틈을 비집고 들어왔다. 정찰병을 자임한 혀는 발성 기관으로만 기능하던 상피세포 하나하나를 속속들이 파악해갔다. 갑작스러운 자극에 당황한 세포들이 파르르 떨며 낯을 붉혔다. 각각의 세포가 지닌 기질을 섭렵한 혀는 곧이어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공습은 주요 포스트를 정확히 짚어 강렬하게 이루어졌다. 이와 이가 부딪히고, 달뜬 혀가 배후로 돌아 그녀의 혀를 죄었다. 아득한 곳으로 추락하던 감각이 기억을 되살리기 시작했다. 수십 년을 좌절과 진정제에 길들여진 몸이 홀연히 야성의 부름을 받고 거친 숨을 내뱉었다. 빛이 끊긴 폐가는 어느덧 검투장으로 변했다. 부엉이와 이름 모를 벌레들이 관객이 되었다. 뜻밖의 빅매치에 그들은 검투사보다 더 큰 소리로 환호했다. 우리는 짐승이었다. 엎치락덮치락. 그녀가 사냥감을 발톱으로 찍고 울부짖기 무섭게 그녀를 덮친 짐승에게서 속 깊은 포효가 울려 나왔다. 할퀴고 깨물었다. 싸움은 끝날 줄을 몰랐다. 날이 밝자 우리는 서로를 알았다. 그윽한 충만감이 죽음 같은 단잠을 불렀다.

IP *.207.218.226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1.04.19 17:59:57 *.42.252.67
나폴레옹 1세와 뱀파이어 분례의 마지막 이별 장면이
실감난다. 서로를 위하는 마음이 세기를 넘어 아름답다.
마지막 마무리가 잘 되는 느낌이 들어 기분이 참 좋아.
상현~ 그윽한 충만감이 드는 그날까지 열심히 하기를.....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1.04.20 08:13:27 *.236.3.241
꼼꼼이 읽어주고 힘을 북돋아 주는 자상한 은주 누나,
새삼스럽게 고맙고 뭉클하네 ^^
그런게 밥심이 되나벼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1.04.19 18:29:13 *.30.254.21
폐기된 격정이
부활하는구나.

휘유...뭐지?
뻘개진 내 얼굴은?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1.04.20 08:15:50 *.236.3.241
원없이 풀어봤습니다. 어떻게 좀 만족스러우셨나요. ㅋㅋ
읽는 형의 마음에 뭔가 불구덩이를 휙 던졌으면 성공한거고.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1.04.19 18:50:17 *.10.44.47
 마지막까지 화이팅!!!!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1.04.20 08:17:11 *.236.3.241
땡큐~~모니터링의 힘이 컸다.

너도 부지런히 쓰고 홀가분하게 뜨삼!!!
프로필 이미지
박미옥
2011.04.21 09:48:13 *.10.44.47

처녀는 영웅이 감옥으로부터 해방시켜야 하는 영웅 자신의 운명의 이미지다. 그러나 영웅이 자기의 운명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엉뚱한 사상에 현혹될 때, 영웅은 아무리 노력해도 장애물을 극복할 수 없다 428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그러니까 분례는 나폴레옹의 운명의 이미지였다는 말이죠? ^^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1.04.21 10:42:54 *.236.3.241
Merci beaucoup!!!

융 식으로 표현하면 분례는 나폴레옹의 아니마다.
'천의 얼굴' 보고 얼개를 찬찬히 뜯어봐야겠다. ㅎㅎ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32 <소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최종회) [14] 박상현 2011.04.21 2927
2331 응애 64 - 호랑이 철학 모두 모여라 - 36쪽이니 클릭 조심하기 [5] 범해 2011.04.21 2931
2330 [호랑이] PM 공지- 필. 독... [1] crepio 2011.04.21 1987
2329 [첫책 기획] 서문 [7] 최우성 2011.04.20 2067
»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17) [8] 박상현 2011.04.19 2263
2327 [호랑이 실험 10 - 4장 소목차 및 4-1~3 초고] [6] 수희향 2011.04.19 2041
2326 아이 키우기, 우리 키우기 (1) [5] 2011.04.19 2051
2325 푸르잔 스토리 - 3 홍현웅 2011.04.19 2203
2324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16) [4] 박상현 2011.04.18 2284
2323 서커스에서 걸어나온 영웅 file [6] [1] 사샤 2011.04.18 4240
2322 내 안의 아이에게 [12] 루미 2011.04.18 2143
2321 새로운 인센티브 [10] 달팽이크림 2011.04.18 3771
2320 [양갱2] 도깨비를 구하는 방법 file [11] 양경수 2011.04.18 3676
2319 3. 영웅을 찾기 위해 함께 가는 길 [13] 미선 2011.04.18 2097
2318 [늑대3] 아름다운 소통_경주에서 [16] 강훈 2011.04.17 1996
2317 [평범한 영웅 003] 하루 2시간의 혁명, 그 300일 간의 대장정을 마치며 (1부) [13] 김경인 2011.04.17 4953
2316 나비 No.3 - 당신이 통과해야 할 세 개의 문 [6] 유재경 2011.04.17 4170
2315 3. 나의 여정은 어디쯤인가?? [6] 미나 2011.04.17 3290
2314 라뽀(rapport) 47 - 엄마라는 명제의 이름 [2] 書元 2011.04.17 2129
2313 단상(斷想) 60 - 그곳에 내가 있었다 file 書元 2011.04.17 2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