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박상현
  • 조회 수 3380
  • 댓글 수 15
  • 추천 수 0
2010년 4월 26일 10시 45분 등록

아내가 떠났다.

두 아이와 내가 덩그러니 남았다.

 

이것은 사실이다. 아내는 지난 금요일 23일간 育我 휴가를 내 홍콩으로 떠났다. 당신은 위의 두 문장을 보고 파국 같은 불경스러운 사건을 떠올렸을지 모르겠다. 당신은 이렇게 따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 흔하게 쓰는 <여행>이라고 하지 <떠남>이라고 했냐'고. '떠남이라고 하니 뭐가 있어 보이지 않냐'고. 핏대를 세워 말하지 않아도 당신의 생각이 전적으로 옳다. 당신의 그 말이 내게 필요했을 뿐이다.  

 

떠남은 극적인 용어다. 일상회화에 사용되는 단어가 아니다. 거기에는 주체의 의지와 소소한 격정이 묻어 있다. 입국장과 비교되는 출국장의 풍경을 보라. 후줄근함과 설렘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제공항과 버스터미널에서 각각 지인에게 전화하는 두 사람이 있다. “8시에 떠나.”, “8시에 출발해.” 어느 쪽이 공항에서 전화하는 사람이라고 생각되는가. 신화로의 입문은 언제 돌아올지 모르는 미지의 세계로 눈 딱 감고 뛰어내리는 번지점프대 같은 것이다.

 

23일의 기간이 아내에게나 나에게나 거추장스러운 일상의 찌꺼기를 털어내고 본질에 몰입할 수 있는 통과제의가 됐으면 좋겠다. 생각해 보니 제단은 이미 마련되어 있었다. 구석에 쳐박혀 있던 여행용 트렁크가 며칠 전부터 거실 바닥에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 트렁크가 사람 누울 자리를 며칠이나 차지하고 있었는데, 나는 그걸 가구의 하나인 양 예사로 봤다.

 

신화와 제의의 주요 기능은, 과거에다 묶어두려는 경향이 있는 인간의 끊임없는 환상에 대응하여 인간의 정신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상징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 구절을 진작 봤더라면『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을 읽다가 발견한 이 문구는 내 얘기였다. ‘트렁크가 바로 상징이었다. 개수대에 떨어지는 수돗물방울처럼 트렁크는 고요와 침잠으로, 누군가 지퍼를 열어젖히고 모험의 세계로 뛰어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여정이 시작되었다. 그녀는 지금 이 땅에 없다. 함께 살아온 세월이 수 천일인데 떠나간 사람의 빈자리는 남은 자들의 기억에서만 태가 난다. 아침 잠에서 깨었을 때, 아이들은 긴가민가할 것이다. 그러다 우려가 현실이 되면 어른이나 아이나 뜬금없이 눈물을 흘리다가 머리를 가로젓다가 이윽고 자신의 심장에 분노의 수류탄을 까는 게 이런 얘기의 극적인 내러티브 공식이다. 아이들은 밤의 일수에 따라 사태의 중대성을 판단한다. 아내는 아이들과 사흘 밤을 자고 오기로 약속했다. 다행이다. 사흘은 쥐도 새도 모르게 종적을 감추기에는 황망한 기간이다. 씩씩한 딸아이가 아침에 깨자마자 의외로 눈물을 보인다.

엄마 언제 와?”

이틀 밤 자면 와.”

보고 싶어.”

버들잎처럼 부르르 떠는 마음을 알기에 안아줘 보지만 그 눈빛을 풀어주기에는 쌓인 시간들이 적다. 아들애 어린이 집에 다녀온 사이 딸내미는 공놀이를 하다가 넘어져 앞니가 부러졌다. 다쳤다는 얘기를 듣는 순간 일상은 보이지 않는 긴장의 관계망으로 유지되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스쳤다. 그녀가 떠나자 아이가 다쳤다.

 

공포는 그 본성에 있어서 파괴적이고 고통스러운 재앙이 임박해 있다고 생각될 때 느끼는 일종의 고통이며, 연민은 마땅히 고통 받을 이유가 없는 사람에게 재난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이러한 일이 우리 자신이나 우리와 가까운 자들 중 누군가에게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될 때 느끼는 감정이라고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다지.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이런 공포와 연민의 감정들이 일깨워져서 예술적 기교에 의해 해소될 때 카타르시스의 쾌감을 느끼게 되고 말야. 

 

그의 말처럼 난 23일을 의식적으로 일종의 제의기간으로 설정하고 압축기에 넣어 짜보려고 한다. 캠벨이 동의할 지 모르겠지만, 일상을 압축하면 질서를 위협하는 욕망과 그 근간을 이루는 정서들이 참기름처럼 수면위로 떠오르지 않을까. 그래도 본질을 깨닫게 해준다는 점에서 액기스는 좋은 것이다. ‘떠났다고 했을 때 당신이 느꼈을 불안의 종자를 화분에 담는다. 지퍼를 열고 들어가 화분을 중심으로 동그랗게 몸을 만 후 트렁크의 지퍼를 닫는다.

 

삶은 공주의 잠이고 죽음은 공주의 깨어남이란다. 출발할 수 있을까. 불안의 종자에서 희망의 꽃을 피워 돌아올 수 있을까.

 

暗轉이다.
IP *.236.3.241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4.26 13:30:15 *.36.210.38
暗轉 여자와 남자

누군가는 호탕하게 아이들과 함께 혼자 남겨진 사실에 기반을 두고, 누군가는 한번쯤 자아와 정체성 및 믿음에 기반을 두었을 시간과 공간의 암전 하나.

그러면 그렇지... 라는.
무엇을 하던지 간에 일상의 붙박이를 떠나 모처럼의 2박 3일 간의 부재라는 명제 하에
어떤 이에게는 아이의 앞니가 부러진 사실보다도 순간 온통 깜깜하게 철렁 가슴이 내려앉았을 보이지 않으나 어딘가로부터 들려올 비명에 더 귀 기울이게 되었을지도 모를,
어떤 이는 순간의 죄의식을 유발하게 되고야 마는 헛헛한. 暗轉 둘.

아이에게 벌어진 상황에서만 비추어본다면 떠남이라는 단어는 누군가에게는 무지 억울한 표현일 수 있겠다는 암전 셋.

매일 문밖만 나서면 멀리 떠나, 아니 곁에 바싹 들러붙어 있는다고 하여도, 설령 오감이 모두 아이나 가족에게만 꽂혀 있는 듯이 보이고 주장함에도, 심지어 둘만의 그 짓거리를 하고 있을 때 조차도
정작은 자신에게만 몰두해 있는 사람처럼 전혀 낯선 이방인의 모습을 하는 것을 본인은 이해나마 할 수 있을까? 암전 넷.

암전은
.....
.....

시공간을 통해 풀기도 하고 묶기도 하는 끈 또는 매듭? ^-^*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0.04.26 19:40:08 *.36.210.38
그렇지??
풀기도 하고 묶기도 해야 하는 혼돈을 질서 있게 정리해 가는 간결한 삶을 우리는 배우고 싶은 것은 아닐까?
이 날들이 쌓이고 모아지면 융통성의 하늘하늘 휘는 허리를 낭창낭창하게 간직하게 되기를 바라며.
부드럽되 맥없이 부러지지 않는...

끈 또는 매듭은 눈빛만으로나 무덤덤한 온기만으로도 너무 충분한,
상대에게(1차적인 관계에서 나아가 그대안의 무리들에게 점차 그대의 빛으로 물들여질... ) 또는 상대로부터 흘러드는 이심전심 불필다언(不必多言) 의 교감, 진한 생명력 같은 것들이 아닐까?
그것은 또한 그대안에 담겨 있는 연두빛 세상으로부터 흘어 나오는 향기=글발(心願) 들이 아닐까?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26 15:38:19 *.236.3.241
제 글에 대한 답글인데 어렵네요 ^^ 다양한 관점으로 봐 주셔서 한참
생각했습니다~ 깊이와 넓이가 다르네요. 

누님, 시방 여기서 저는 풀어야 되는겨 묶어야 되는겨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0.04.26 14:54:23 *.106.7.10
첫 문장 좋아요 !   ㅎㅎㅎ
근데, '유끼 매일수련'에서 안 보았으면 완전 낚였을텐데 ㅋㅋㅋ

어떤 맘과 의지와 격정으로 트렁크를 싸고 출발하셨을까요?
또 배웅하는 오빠의 맘은 어땠을까요?
네살배기 아이들에게 엄마없는 사흘 밤은 짧지 않은 시간일텐데요.
이번 언니의 여행이 가족의 새로운 '통과제의'가 될 것이란 데 동감임다.

멋진 통과제의로 가족 모두 한단계 훌쩍 성장하시길, 그리고 더 많이 사랑하시길 ^^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26 15:44:55 *.236.3.241
별 일은 없었고 말 그대로 휴식을 위해 여행을 간거지.

주말에  얘들 보는데 힘들더라구. 이런 생활이 변화없이
반복된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어려워질 것 같아. 

희망이라는 건
내일이 오늘과 같지 않을 거라는 작은 믿음이라는 생각을 했어
자주 시간을 줘야 겠어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0.04.26 17:06:59 *.236.70.202
이런 스타일. 좋아요!
사람도 보이고 마음도 보이고..
아..이런 거였구나..
저도 이제 그만 웅웅거리고
제대로 함 해봐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한번만 힘~껏
웅.....   ^^
프로필 이미지
2010.04.26 17:45:42 *.236.70.202
이건 내 이야기가 아니냐?
그렇게 말하고 싶었지만 도저히 해 낼 수 없어서 못하던 내 이야기가 아니냐?


이럼서 가슴을 쓸어내리는 거죠..
나만 힘든 건 아니었구나..우리는 모두다 동지였구나..하면서요.
그런 의미에서
오빠..이번 글 참 좋아요.   ^^

유끼남자들..소설문체도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특히 오빠는 더..  ^^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26 17:24:58 *.236.3.241
월요일 오전에 보는 컬럼이 좀 칙칙해서 마음이 좀 그렇다^^

첫 구절을 떠났다로 시작하니까 글이 좀 거시기해졌네.

묙아, 궁금한 게 있는데, 이런 글이 독자에게 주는 효용은 뭘까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4.26 17:31:31 *.219.109.113

공주님 이만저만 하다니 정말 다행이고 영구치가 아니라 또 정말 다행이다.

아내의 빈자리를 대신하며 북리뷰를 하는 모습이 떠오르니 안탑깝지만

아내의 화려한 외출을 허락한 그대가 무지 멋 있네.

서로에게 얻은 것이 있는 좋은 시간이였는데...... 공주님이 다쳐 뭐라고 쓸 말이 없어. ㅜㅜ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26 18:07:32 *.236.3.241
치과갔었는데 영구치를 다친 게 아니라서 별 문제는 없습니다.
옥에 티가 생긴 것 같아 마음이 좀 아플 뿐이죠 (웁쓰~)

몇일 생활해 보니 홀아비 생활이 어떨지는 기냥 그려집디다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4.26 18:17:06 *.216.38.10
"공포는 그 본성에 있어서 파괴적이고 고통스러운 재앙이 임박해 있다고 생각될 때 느끼는 일종의 고통" 이라는 말이 인상적입니다. 충격의 첫문장 이후에 좀 더 자극적인 막장드라마(?)를 기대한 제가 잘못인가요..? 너무 드라마를 많이 본 탓인가요? '2박3일간의 제의기간'이라는 말에 피식- 하는 미소가 머금어졌습니다. 삶은 공주의 잠이고 죽음은 공주의 깨어남.. 우리는 매일 삶과 죽음을 왔다갔다 하는가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26 18:35:24 *.236.3.241
초반부를 막장 드라마로 가면 극적인 전환이 필요한데 그럼 말 그대로 소설이
되버릴 것 같아 낚는 수준에서 수위를 맞췄습니다 ㅎㅎㅎ

아! 그리고 책리뷰에 재엽 선배가 번역한 보들레르의 '교감'을 발췌해서 잠깐 언급했습니다.
시의 이미지와 조응하는 부분이 책에 있더라구요 ^^ 
프로필 이미지
낭만 연주
2010.04.27 11:35:33 *.203.200.146
2박3일의 제의기간은 끝나셨겠죠?
화분심어진 불안의 종자가 희망의 꽃을 피워 왔겠죠~
그리고 이제 삶속에서 열매를 맺을 일만 남았으리라 생각해요.
오라버니는 아내에게 육아휴가를 줄 수 있는 멋진 남편이셨군요~ 이런 사람 만나야 하는데~ㅋㅋ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4.27 13:09:25 *.236.3.241
돈이나 말로 하는 게 제일 쉽고
몸과 마음을 함께 하는 게 어렵지만
가장 좋은 것 같아

내가 월급주는 것도 아닌데 휴가를 준 건 아니고
혼자서 아이들을 봐 보기로 한 거지

연주야, 그런 훈훈남 만나고 있는 거 아닌감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mens timberland boots
2010.04.29 12:25:28 *.6.27.197
For the class and the discount timberland boots, the cause of the party's success, I do not cherish the timberland classic boots, but would rather live in a shabby and wet thatched; do not cherish the delicious timberland men's custom boots, but would rather swallow the coarse corn and vegetable roots; not cherish the timberland 6 inch boots, the dog would rather sleep in the pigsty nest-like home! China is an timberland roll top boots, is also a brave nation. The timberland chukka boots has two major advantages: courageous, hard-working. How lovely such a mens timberland boots, we love our nation (of course other people have their good points, we must not lose sight of that point), which is the timberland womens boots of our confidence. www.timberlander.com 29April LGZ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72 응애 7 - 명의를 찾아서 [16] 범해 좌경숙 2010.04.27 2630
1571 <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 - 애드거 앨런 포우 > 1. file [12] [1] 정재엽 2010.04.27 4166
1570 칼럼 7. 폭군 vs 영웅 [14] [1] 낭만 연주 2010.04.26 3142
1569 컬럼, 길 [14] 우성 2010.04.26 2654
» 컬럼 7. 아내가 떠났다 [15] 박상현 2010.04.26 3380
1567 칼럼7. 왜 영웅이 되어야할까? [7] 맑은 김인건 2010.04.26 2777
1566 컬럼8. 나는 귀환한 영웅이었다. [13] 이은주 2010.04.26 2495
1565 컬럼2-2: 나의 야심(野心) file [5] 희산 2010.04.25 2778
1564 [패러독스경영 2] 무삭제판 '행복의 비밀' (중) [5] [1] 송창용 2010.04.25 3239
1563 <꿈을 실천하는 힘2> 시험을 보다 [8] 이선형 2010.04.25 2808
156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2 [7] 백산 2010.04.25 2547
1561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7] 백산 2010.04.23 2585
1560 감성플러스(+) 바쁠수록 단순하게 살아라 file [5] [1] 자산 오병곤 2010.04.23 4706
1559 #1. 자기경영 강사가 직면한 2가지 도전 [5] [1] 이희석 2010.04.22 2809
1558 [패러독스 경영 2] 무삭제판 ‘행복의 비밀’ (상편) [9] [1] 송창용 2010.04.22 3354
1557 우리, 자신의 속도로 끝까지 가자. [4] 2010.04.22 2891
1556 소심인으로 사는 3단계 방법 (1) - Prologue [8] 차칸양 2010.04.21 2794
1555 응애 6 - 항상 그곳에 있었으나 [7] 범해 좌경숙 2010.04.21 3536
1554 모든 것이 충분하다 [5] 백산 2010.04.21 2632
1553 유끼 모두에게 [11] 부지깽이 2010.04.20 2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