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11312
- 댓글 수 8
- 추천 수 0
여기 시가 하나있다. 이 시의 제목은 '내 고추'다.
변소에 가서
오줌을 누려고 하는데
해바라기가
내 고추를 보려고 한다
나는 안 보여줬다
어느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시다. 열 살짜리의 시인데, 귀엽다. 그러나 원래의 시는 다르다. 원작은 이렇다.
변소에 가서
오줌을 눌라고 하는데
해바라기가
내 자지를 볼라고 한다
나는 안 보여줬다
제목도 '내 고추'가 아니고 '내 자지'다. 사투리도 표준말로 고쳤다. 학교 선생은 다른 학생들에게 원작을 그대로 보여 주는 것이 불편해서 교육적 차원에서 젊잖게 고쳐두었다고 한다. 강제 개작을 통해 이 시의 어린 작가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이라는 정체성에서 벗어 날 수 없게 되었다. 표준화 되었고, 무난해졌다. 그러나 교육이라는 거름망을 지나오는 동안 '열 살짜리 남자 아이'라는 본질을 잃고 말았다. 생명을 잃었고, 진실을 잃었고, 시(詩)를 잃었다. 해바라기가 보려고 하여 숨긴 것은 내 고추가 아니라 내 자지인 것이다. 고추라면 숨길 필요도 없다. 오직 자지이기 때문에 숨길 필요가 있는 것이다.
신화는 문명의 고치지 않은 원판이며 야생의 사유다. 모든 어른 속에 아이가 들어 있듯이, 인류는 그 사유 속에 원시를 품고 있다. 마찬가지로 인간이 만들어 낸 모든 문명은 원시로부터 시작되었다. 원시를 품지 않은 문명은 죽은 것이다. 야생의 사유가 없는 문명은 아스팔트며, 가면이며, 생명이 다했거나 애초에 생명이 없이 만들어진 조화(造花)에 불과하다.
신화는 인류가 만들어 낸 가장 오래된 원시의 철학이다. 그때 그들은 이 사유의 틀로 사람을 이해했고 자연을 이해했고 우주를 이해했다. 과학이 발달하면서 원시를 미신이라고 불렀고, 문명이 발달하면서 원시를 야만이라고 모멸했다. 그러나 신화는 이야기 속에 체계적으로 위장되어 있는 진리의 상징이다. 그것을 풀어내면 옷 속에 감춰진 인류의 은밀함에 접근해 갈 수 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83 |
작가들- 성스러운 변형을 찾아 나선 모험가들 ![]() | 구본형 | 2012.05.15 | 14627 |
582 |
감사의 힘 ![]() | 구본형 | 2012.05.01 | 11413 |
581 | 탐욕과 두려움과 거짓에 대하여 [3] | 구본형 | 2012.04.18 | 8701 |
580 |
분노를 다스리는 여덟가지 비계 ![]() | 구본형 | 2012.04.02 | 10616 |
» |
야생의 사유 속에 감춰둔 인간에 대한 진실 ![]() | 구본형 | 2012.03.19 | 11312 |
578 |
차별화의 본질- 틈새, 세계화 그리고 혁신 ![]() | 구본형 | 2012.03.08 | 8403 |
577 |
외로운 길을 가라, 유일해 질 수 있다. ![]() | 구본형 | 2012.02.29 | 14510 |
576 |
정의란 무엇인가 ? ![]() | 구본형 | 2012.02.22 | 10920 |
575 |
과도한 성공에 머물지 마라, 보복이 있으리니 ![]() | 구본형 | 2012.02.14 | 8131 |
574 |
그녀의 얼굴에 머무는 마지막 시선 ![]() | 구본형 | 2012.02.08 | 8917 |
573 |
그대의 이름은 사랑 ![]() | 구본형 | 2012.02.07 | 9919 |
572 |
나의 작가론 2 ![]() | 구본형 | 2012.01.30 | 7306 |
571 |
메데이아, 상처받은 팜므 파탈 ![]() | 구본형 | 2012.01.15 | 12615 |
570 |
그 많던 결심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 ![]() | 구본형 | 2012.01.03 | 11946 |
569 | 세상과 만나는 아름다운 역 [14] | 구본형 | 2011.12.25 | 8164 |
568 | 그것은 복고가 아니라 부활이라네 [2] | 구본형 | 2011.12.20 | 7360 |
567 | 오래 될수록 좋은 것 [5] | 구본형 | 2011.12.19 | 9633 |
566 | 나의 작가론 [5] | 구본형 | 2011.12.13 | 8013 |
565 | 회사를 다니면서 꼭 해봐야할 세가지 일 [11] | 구본형 | 2011.12.05 | 51454 |
564 | 결정의 경영 [4] | 구본형 | 2011.11.24 | 9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