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백산
  • 조회 수 1566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2년 4월 8일 13시 35분 등록

인성이란 무엇인가?

 

가끔씩 우리는 ‘그는 인간성이 형편없어!’ 라고 비난하거나 ‘그의 인간성이 마음에 든다’고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인간성라고 부르는 인성의 정의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 그런데 어떻게 가르칠 수 있겠는가? 아이러니한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심리학을 전공한 나는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해서는 상당한 지식을 확보하고 있다. 생리적인, 역학적인, 그리고 심리적인 측면에서 말이다. 그러나 그 인간인 나 개인에 대해서는 아직도 정확하게 잘 알고 있다고 말 할 수가 없다. 곧 인간과 개인은 다르다는 것이다. 사주팔자나 성격유형처럼 우리는 인간의 보편적 경향성에 대해서 이해하지만 그것이 곧 개인의 이해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가 말하는 인성은 ‘된 사람’ ‘사람다움’을 지닌 사람의 품격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 사람 인성이 괜찮아!’ 라고 말하는 것은 도덕적 의미를 가지고 생각과 태도 그리고 행동의 특성을 보여주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다. 즉 개인이 사회적, 환경적 요구 간의 조화를 이룬 상태에서 개발되어 굳어진 습성을 나타내며 개인과 환경간의 역동적 상호작용 상태다. (엄혁주,(2012))

 

인성을 정의한다면 그것은 한 인간 개인으로서의 기본적 자질과 태도 및 품성을 말한다

 

 실재 실체 관계의 형태적 실례.png

 

우리는 이 그림 속에서 흰색의 정육면체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정육면체도 두 가지 형태의 정육면체를 볼 수 있다.

나는 실재(實在)와 실체(實體), 그리고 관계(關係)를 설명할 때 이 그림을 예로 사용하는데 인성이라는 것을 설명하는데 유용할 것 같다.

위 그림에서 속에 화살표 무늬가 있는 녹색원은 실체다. 그리고 그 실체들간의 일련의 관계가 형성되면 정육면체가 나타나는 데 그것은 실재다. 실재는 실체가 아니지만 실체들의 관계에 의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인성이란 것도 마찬가지다. 인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보편적 요소들에 의해서 한 개인의 고유한 인성이라는 실재가 존재하는 것이다.

인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Lickona(2005) 는 크게 양대 요소, 도덕적 인성(moral character)와 실천적 인성(performance character)로 구분하고 도덕적 인성에는 caring (돌봄) honesty (정직) fairness(공평) responsibility(책임감) respect for self and others (자신과 타인에 대한 존중) 의 6가지를 실천적 인성은 diligence (근면) best efforts(최선의 노력) perseverance (인내) crit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 positive attitude(긍정적인 태도) 5가지로 구분하였다.

 

한 개인의 인성은 이러한 도덕적 인성요소과 실천적 인성요소가 상황에 따라 복잡하게 관계지어지면 목적을 향해 반응하게 된다. 즉 구체적인 행동과 그 행동을 실재로 일으키는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나는 이러한 하위 요인들이 발달할 수 있도록 강의를 위해 세 가지 접근방법을 구상하였다.

그것들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공동체 구성원의 이해 능력을 가르치는 위해 자신에 대해 발표하기, 협동학습방법을 통한 태도 및 의사 표현 및 경청 정리 전달능력을 확보하기, 그리고 문학작품이나 현장 사례를 통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통한 사고 훈련, 그리고 나의 강의내용과 강의에 임하는 태도였다. 사회적 행동학습은 학습자가 가르치는 사람이 전달하는 내용보다 가르치는 사람의 태도와 행동을 더 많이 모방한다는 연구되어진 결과로 본다면 나의 강의나 그 내용의 질도 중요하겠지만 더 많이 나의 태도와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IP *.131.234.12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