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3년 12월 2일 08시 15분 등록

얼마전 Y를 만났다. 초등학교 6학년때 같은 반이었던 친구인데, 녀석은 반장이었다. 훤칠한 키에 시원시원한 미소를 지닌 세탁소집 아들, 사람들에게 언제나 친절했고 모범적이었으며 공부를 잘했던 친구이다. Y와 6학년때 같은 반이었지만  또 다른 친구 S와 함께 4학년때부터 같은 주산학원을 다녔기도 했다. Y S 그리고 나, 이렇게 세 명은 소위 삼총사를 이루며 친하게 지냈다.

그런 Y를 만났다. 무려 20여년만이다. Y는 여전했다. 20년이 흘렀지만 Y는 특유의 착한 미소를 날리며 나를 반겼다. 우리는 명함을 주고받았다. Y의 명함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특허법인 땡땡, 변리사 Y’. 역시 Y. Y는 서울 유수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 공부까지 한 뒤 대기업에 취업했다. 하지만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가 쉽지 않은 대기업문화와 여건이 만족스럽지 못했는지, 회사를 그만두고 신림동으로 들어가 공부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운좋게(녀석의 표현에 따르자면) 2년만에 합격했다. 역시 모범생 Y였다.

하지만, 대화 도중 나온 Y의 말은 나를 더 놀라게 했다자신이 얼마 전 방통대 법학과를 졸업했다고, 그리고 내년에는 일어일문학을 전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나는 입이 떡 벌어졌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돈 잘 버는 직종에 몸담고 있는데, 무슨 공부를 그렇게 더 하려고 하냐고, 그만해도 되지 않냐고 반문하자 Y가 이렇게 답했다. 일단 자신이 일하는 업계 사람들의 소위 말하는 스펙이 장난이 아니고 – SKY를 비롯, 대학원, 해외 유학파 등등 자신은 일본클라이언트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어를 잘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공부를 안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녀석은 또 다른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업계 선배들이 말하길, 변리사 업종에서 성공하려면 공부는 적당히 하고 사람관계를 잘 다져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흔히 말하는 '영업'을 잘하라는 것. 실무능력은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는 갖추어 지고 특출나지 않는 이상 거기서 거기가 된다고, 결국 자신의 클라이언트가 있어야 독립도 하고 파트너(지분을 보유한)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조용하고 착하지만 그리 외향적이지 않은 Y의 또 다른 고민이었다. 연봉이 높아 모든 사람의 부러움을 사고 있는 괜찮은 직업을 가지고도, 끊임없이 공부를 하고 자신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그에게  또 다른 고민거리가 있다는 것을 보며, 도대체 어디까지 어떻게 살아야 잘사는 것인 것, 열심히 사는 것인지 의문 아닌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의학을 전공했지만 백신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의 CEO였, 기업가 정신을 전파하는 대학교수였으며 지금은 현실정치에 뛰어 들어 만만치 않은 일상을 보내고 있는 우리 시대의 멘토 안철수. 그는 열심히 사는 것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어쩌면 인생이란 수많은 선택의 순간에 직면하면서 자신의 한계를 넓혀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과정인지도 모른다. 열심히 산다는 것은 지금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열심히 살아가고자 노력하는 생활 태도라고 생각한다. 삶을 살아가면서 중요한 것은 무엇을 했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살았느냐인 것 같다.’

열심히 산다는 것은 아마도 이런 것일 것이다. 최우선의 자세는 자신이 있는 곳에서 불평하지 말고 최선을 다하는 것, 한계에 부딪혔을 때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도전하는 것, 대신 자신에게 맞는 분야, 좋아하는 분야를 탐구하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하며, 그것이 정해졌을 때는 묵묵히 정진하고 파고들어 결국엔 그 정점 그것이 외적이던 내적이던에 올라서는 것, 아마도 그런 것일 것이다.  

요즘 잘나가는 드라마인 응답하라 1994’에서 이런 장면이 있다. 잘 나가는 대학야구 투수인 칠봉이(유연석)와 그와 함께 옵션으로 들어와 만년 후보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친구가 칠봉이를 질투하고 싫어한다. 그리고 실수로 칠봉이를 다치게 하고도 사과하지 않는 그 친구에게 칠봉이 마누라(포수, 투수와 포수의 관계를 배터리라도고 한다)는 이렇게 말한다.

칠봉이가 언제부터 주전이었냐? 그 녀석 고1까지는 만년 후보였다. 그런데, 그 녀석 묵묵히 훈련하더라. 제일 먼저 일어나 런닝 1시간, 오후 훈련 끝나면 혼자 쉐도우 500, 그 훈련은 국민학교 3학년때부터 했어. 처음 야구 시작한 때부터 하루도 안 빼고. 독하지. 나도 그렇게 독한 놈 처음봤어. 쟤는 참 노력하는데 안 된다. 역시 야구는 타고나야 되나 했거든.

근데 어느 순간 거짓말처럼 잘 하더라. 남들은 타고 난 줄 알지. 기사보니까 천재라고도 하고. 칠봉이 엄청 열심히 했어.너 걔만큼 했어? 칠봉이만큼 했냐고.”

 

주전에이스로 활약하고 있는 칠봉이의 실력이 단순히 타고난게 아닌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라는 것, 열심히 산다는게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명쾌한 장면이었다.

 

지원 과정까지 포함하면 연구원 공부를 시작한지 1년이 다 되어간다. 책읽는 속도, 글쓰기 실력이 붙어야하는게 아닌가 생각하는데, 그게 맘처럼 되는 것 같지 않다. 언젠가 한번 말했던 것 처럼 요즘은 나사 몇 개 풀린게 아닌가 싶을 정도다. 지난 시간들을 돌아보고 앞으로 다가올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열심히 산다는게 무엇인지를 돌아보아야 할 때가 아닐까.

IP *.192.133.74

프로필 이미지
2013.12.02 14:52:09 *.62.163.88
공감 200% !!
프로필 이미지
2013.12.02 14:53:56 *.62.163.88
나도 너처럼 폭신폭신 부드러운 글 쓰는게 소원이야. 전교일등 김대수는 칠봉이처럼 천재소리 듣게될꺼야!!
프로필 이미지
2013.12.03 15:33:47 *.46.178.46

칭찬은 코끼리도 춤추게 한다는  형님의 무한 칭찬~ 저에게 힘을 줍니다!

(사실 코끼리는 점프를 할 수 없다고 하더군요 ㅋ )

 

하지만, 더 잘하라는 말로 믿고... 더 열심히 해야겠지요 ?

 

다시 보니, 오타 작렬이네요... 급하게 써시리 ^^:::

1차 수정 완료! ㅋ

프로필 이미지
2013.12.04 19:20:25 *.62.175.40
코끼리가 점프못한다고? 점프는 몰라도 비행은 하잖아! 하늘을 나는 코끼리 덤보!!
프로필 이미지
2013.12.05 09:27:39 *.46.178.46

죄송.....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하는거 였군요. 뭐... 코끼리나 고래나... ^^:::

프로필 이미지
2013.12.02 16:25:45 *.50.65.2

"비교할 대상은 밖의 남이 아니라 어제의 나이다. " 라고 말하는 것처럼

 

칠봉이는 어제의 자신과 경쟁을 했네.

칠봉이를 본받고 싶다~~~

 

 

칭찬이든 비난이든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보다는,

내 스스로가 값지다고 생각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면 그것으로 의미가 있는 것이지,

 칭찬과 비난을 특별히 의식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외부의 칭찬에 크게 우쭐할 필요가 없으며,

내가 내 기준에서 최선을 다했다면 결과가 실패로 돌아온다 하더라도 기죽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 안철수-

 

프로필 이미지
2013.12.02 23:05:36 *.36.146.150
자신감은 99%의 준비에서 나온다는
조수미의 말이 생각나는 글이다
네가 페푹에 올렸던...,
늘 변함없이 현실이라는 대지에 뿌리 박고 물을 끌어올리고 꽃 피우고 열매 맺는 땟쑤나무 되겠음묘~~♡♡

잎사귀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12 검은 까마귀가 된 흰 까마귀 정야 2013.12.05 2399
3811 J에게 : 청담동 앨리스 file [3] 타오 한정화 2013.12.04 4389
3810 #17_적금을 할까, 펀드를 할까 2 서연 2013.12.03 2358
3809 [2-28] 헬렌에 대하여 콩두 2013.12.03 2551
3808 [No.8-1] 철수 오빠를 부탁해~! - 서은경 [7] 서은경 2013.12.02 2009
3807 '민주주의'라는 아이러니 [5] 유형선 2013.12.02 1853
3806 응답하라 1994 그리고... [6] 라비나비 2013.12.02 2106
3805 No31. 입술과 입술의 만남 Kiss. file [6] Oh! 미경 2013.12.02 2184
» #26. 열심히 산다는 것 [7] 땟쑤나무 2013.12.02 4092
3803 중년의 주름살과 나잇살 [3] 제이와이 2013.12.02 2206
3802 Climbing - 통증(痛症)의 미학 書元 2013.12.01 1904
3801 키드니 4 레몬 2013.12.01 1997
3800 [2-27] 서문 - 늦깍이 새댁의 생활밀착형 신화 읽기 [2] 콩두 2013.11.29 2070
3799 No 30. 세상속의 나를 삶으로 창조하기(11월 오프수업) Oh! 미경 2013.11.26 1991
3798 J에게 : 맴돌던 자리를 벗어나려고 [5] 타오 한정화 2013.11.26 2019
3797 #25. 미래트랜드와 나의 풍광(11월 오프수업) 땟쑤나무 2013.11.26 1937
3796 미래의 풍광과 나의 키워드 (수업) 제이와이 2013.11.26 2028
3795 [2-26] 수정 출간기획서 콩두 2013.11.26 3325
3794 #16_적금을 할까, 펀드를 할까 서연 2013.11.26 2046
3793 [11월 오프수업] 미래 트렌드와 나의 풍광 라비나비 2013.11.26 2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