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나경
- 조회 수 2397
- 댓글 수 9
- 추천 수 0
가냘픈 어깨에 무거운 짐을 얹지 마라
나는 어떤 그릇인가...
“아이들의 숲 - 돌봄과 배움의 작은 학교”
3월부터 문을 열 저희 방과후학교의 이름입니다.
어제 밤에 공간을 완전히 계약하고 열쇠를 받아왔습니다.
설레이고 또 두렵기도 합니다.
그러네요. 지금 마음은 딱 설레임과 두려움 두가지입니다.
지난 해 말부터 계속 보아온 공간과 계약을 하지 않고
이번주 월요일 갑자기 발견한 공간에 자리를 잡기로 했습니다.
며칠 사이에 숨가쁜 시간이었습니다.
우리 마을의 아주 큰 목욕탕- 24시 찜질방- 바로 옆자락인데
오며 가며 “저기 참 좋네... 혹시 나갈 생각 없나 한번 물어보러 갈까..”
하던 자리였습니다. 그런데 저 말고 우리 마을 피아노학원 선생님도 그러셨다네요.
그분은 직접 실천을 해서 올라가 물어봤다나요^^
월요일 이른 아침 목욕탕을 다녀오는 길에 “임대”라고 붙어있는걸 보고
가서 며칠만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젊은 아이들이 출판사와 인권강좌... 문화공간으로 쓰던 곳이었습니다.
이제 어린 아이들의 따뜻한 공간이 되길 꿈꾸어 봅니다.
“아이들의 숲”이 자리잡기에 번화한 곳은 아닌가
잠깐 생각했습니다.
어제 딸아이한테 한번 써 보라고 했더니 끝까지 “아이들이 숲”이 라고 써놓네요
제가 처음 생각한 걸 딸아이는 정말 잘 안다 싶어 놀랐습니다.
저는 숲... 그러니까 키큰 나무도 있고 작은 나무도 있고 풀도 있고 이끼도 있고 ... 뭐 그런 ... 저마다 다 다른 아이들이 어울려 있는 공간 , 그 다름을 인정하고 자랑스러워 하는 공간을 꿈꾸고 있었습니다. 그러면 아이들이 숲이 더 어울리는 건가...
바쁜 와중에 그래도 구본형소장님 새책을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가만히 앉아 읽을 짬이 없었습니다. 가볍게 안 넘어가서 좀 있다 읽어야 겠어요. 서점서책을 딱 폈는데 나온 자리가 “가냘픈 어깨에 무거운 짐을 얹지 마라”였습니다.
저는 소장님의 책에서 일관되게 흐르는 메시지가 바로 이것이라고 늘 생각합니다.
“나는 어떤 그릇인가”
사람에게는 자신만의 길이 있기 마련이다.
태어날 때 첫눈에 보면 무슨 그릇인지를 알수 있다면 얼마나 재미없겠습니까?
또 부모가 너 이 그릇이야 하고 정해주면 끝이면 얼마나 시시하겠습니까?
저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내 그릇을 알아가고 담아가고 다듬어가는 지금이 좋습니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면서 다시 한 번 되돌아봅니다.
너무 무거운 짐을 지고 가지 않도록, 내 그릇을 끊임없이 돌아보면서, 아름다운 인생을 만들고 싶습니다.
초아선생님께서 “고생스러우나 괜찮습니다”라고 말씀해주셔서 그것도 고맙습니다.
이제 겨우 익숙해진 밥벌이를 버리고 떠나 새로운 일을 시작하면서 고생스럽지 않기를 바라지 않고 있었습니다.
길지 않은 삶속에서 고생이 고생으로 끝나지 않도록 애쓰는 것은 사람의 일이라 싶어졌습니다. 무엇하나 그저 얻어지는 것은 없었고, 좋기만하거나 나쁘기만 한 것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설레임과 두려움.
그 앞에서 이렇게 든든한 곳이 있어 참 좋습니다.
구본형 소장님의 새책 “사람에게서 구하라”가 세상에 나온 무렵에 내가 새 일을 시작했다고 기억할테고, 그때 소장님이 내게 “사람에게서 구하라”는 말씀을 해 주셨다고 기억할것입니다.
IP *.230.199.144
나는 어떤 그릇인가...
“아이들의 숲 - 돌봄과 배움의 작은 학교”
3월부터 문을 열 저희 방과후학교의 이름입니다.
어제 밤에 공간을 완전히 계약하고 열쇠를 받아왔습니다.
설레이고 또 두렵기도 합니다.
그러네요. 지금 마음은 딱 설레임과 두려움 두가지입니다.
지난 해 말부터 계속 보아온 공간과 계약을 하지 않고
이번주 월요일 갑자기 발견한 공간에 자리를 잡기로 했습니다.
며칠 사이에 숨가쁜 시간이었습니다.
우리 마을의 아주 큰 목욕탕- 24시 찜질방- 바로 옆자락인데
오며 가며 “저기 참 좋네... 혹시 나갈 생각 없나 한번 물어보러 갈까..”
하던 자리였습니다. 그런데 저 말고 우리 마을 피아노학원 선생님도 그러셨다네요.
그분은 직접 실천을 해서 올라가 물어봤다나요^^
월요일 이른 아침 목욕탕을 다녀오는 길에 “임대”라고 붙어있는걸 보고
가서 며칠만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젊은 아이들이 출판사와 인권강좌... 문화공간으로 쓰던 곳이었습니다.
이제 어린 아이들의 따뜻한 공간이 되길 꿈꾸어 봅니다.
“아이들의 숲”이 자리잡기에 번화한 곳은 아닌가
잠깐 생각했습니다.
어제 딸아이한테 한번 써 보라고 했더니 끝까지 “아이들이 숲”이 라고 써놓네요
제가 처음 생각한 걸 딸아이는 정말 잘 안다 싶어 놀랐습니다.
저는 숲... 그러니까 키큰 나무도 있고 작은 나무도 있고 풀도 있고 이끼도 있고 ... 뭐 그런 ... 저마다 다 다른 아이들이 어울려 있는 공간 , 그 다름을 인정하고 자랑스러워 하는 공간을 꿈꾸고 있었습니다. 그러면 아이들이 숲이 더 어울리는 건가...
바쁜 와중에 그래도 구본형소장님 새책을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가만히 앉아 읽을 짬이 없었습니다. 가볍게 안 넘어가서 좀 있다 읽어야 겠어요. 서점서책을 딱 폈는데 나온 자리가 “가냘픈 어깨에 무거운 짐을 얹지 마라”였습니다.
저는 소장님의 책에서 일관되게 흐르는 메시지가 바로 이것이라고 늘 생각합니다.
“나는 어떤 그릇인가”
사람에게는 자신만의 길이 있기 마련이다.
태어날 때 첫눈에 보면 무슨 그릇인지를 알수 있다면 얼마나 재미없겠습니까?
또 부모가 너 이 그릇이야 하고 정해주면 끝이면 얼마나 시시하겠습니까?
저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내 그릇을 알아가고 담아가고 다듬어가는 지금이 좋습니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면서 다시 한 번 되돌아봅니다.
너무 무거운 짐을 지고 가지 않도록, 내 그릇을 끊임없이 돌아보면서, 아름다운 인생을 만들고 싶습니다.
초아선생님께서 “고생스러우나 괜찮습니다”라고 말씀해주셔서 그것도 고맙습니다.
이제 겨우 익숙해진 밥벌이를 버리고 떠나 새로운 일을 시작하면서 고생스럽지 않기를 바라지 않고 있었습니다.
길지 않은 삶속에서 고생이 고생으로 끝나지 않도록 애쓰는 것은 사람의 일이라 싶어졌습니다. 무엇하나 그저 얻어지는 것은 없었고, 좋기만하거나 나쁘기만 한 것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설레임과 두려움.
그 앞에서 이렇게 든든한 곳이 있어 참 좋습니다.
구본형 소장님의 새책 “사람에게서 구하라”가 세상에 나온 무렵에 내가 새 일을 시작했다고 기억할테고, 그때 소장님이 내게 “사람에게서 구하라”는 말씀을 해 주셨다고 기억할것입니다.
댓글
9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초아
"가날픈 어깨에 무거운 짐을 얹지마라."
이를 명리학에서 재다신약(財多身弱)이라 합니다. 재물은 많은데 몸이 약하여 그를 지니지 못한다는 뜻이지요. 이때에는 나를 도와주는 자를 용신으로 삼습니다. 진정 그댈 도울 사람이 있습니까? 마음으로 라도 도울 사람이 적을 것입니다. 그러면 두번째의 용신이 인성(印星)입니다. 이를 조용신(助用神)이라 합니다. 용신을 도와 주는 신입니다. 그러면 인성에 대한 설명을 해 보겠습니다.
인성은 문서, 책, 도장, 어머니입니다. 김선생이 아이들의 숲을 계약하시고 구선생님의 "사람에게서 구하라"는 책을 구입하였을 겁니다. 이는 성공을 예견하는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점을 치는 것을 "격물취지" 또는 "매화 점법"이라 합니다.
그리고 나경양을 위해서 산통으로 占을 쳐보니
"저羊촉藩 不能退 不能遂 无攸利 艱則 吉"
<어린양이 나아가다 그뿔이 울타리에 걸려 물러서지도 못하고 나아가지도 못한다. 지금끼지 살아옴에 아무것도 이룬 것이 없어도 어려움을 헤쳐나가면 꼭 성공하리다.>
나의 눈속에 들어오는 나경양의 모습과 꼭 같다. 이제 어려움을 헤쳐나면 원하는 바를 이룰 것이다. 부디 실망치 말고 굳게 나가야 한다.
어렵거든 책을 읽어라, 그리고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어라, 힘들 거든 어머니를 찾아라, 그리고 나의 이름으로 계약한 문서를 보면서 힘을 얻어라. 크게는 아닐 지라도 행복숲은 만들 것이다.
이를 명리학에서 재다신약(財多身弱)이라 합니다. 재물은 많은데 몸이 약하여 그를 지니지 못한다는 뜻이지요. 이때에는 나를 도와주는 자를 용신으로 삼습니다. 진정 그댈 도울 사람이 있습니까? 마음으로 라도 도울 사람이 적을 것입니다. 그러면 두번째의 용신이 인성(印星)입니다. 이를 조용신(助用神)이라 합니다. 용신을 도와 주는 신입니다. 그러면 인성에 대한 설명을 해 보겠습니다.
인성은 문서, 책, 도장, 어머니입니다. 김선생이 아이들의 숲을 계약하시고 구선생님의 "사람에게서 구하라"는 책을 구입하였을 겁니다. 이는 성공을 예견하는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점을 치는 것을 "격물취지" 또는 "매화 점법"이라 합니다.
그리고 나경양을 위해서 산통으로 占을 쳐보니
"저羊촉藩 不能退 不能遂 无攸利 艱則 吉"
<어린양이 나아가다 그뿔이 울타리에 걸려 물러서지도 못하고 나아가지도 못한다. 지금끼지 살아옴에 아무것도 이룬 것이 없어도 어려움을 헤쳐나가면 꼭 성공하리다.>
나의 눈속에 들어오는 나경양의 모습과 꼭 같다. 이제 어려움을 헤쳐나면 원하는 바를 이룰 것이다. 부디 실망치 말고 굳게 나가야 한다.
어렵거든 책을 읽어라, 그리고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어라, 힘들 거든 어머니를 찾아라, 그리고 나의 이름으로 계약한 문서를 보면서 힘을 얻어라. 크게는 아닐 지라도 행복숲은 만들 것이다.

김나경
가냘픈 어깨^^라고 써 놓은 걸 보고
혼자 웃습니다. ㅋ ㅋ 어깨는 가냘프지 않지 ^^ 하고 말입니다.
따뜻한 말씀 고맙습니다. 써니님.
책읽기를 늘 게을리 하지 않아야겠다는 결심을 다시 합니다. 초아선생님. 감사합니다.
제가 커다란 고마움을 갖고 있음을 아시지요? 한명석선생님. 늘 고맙습니다.
앞으로의 10년 아니, 그 후에도 제게 든든한 아군이 되어주십시오.
백산님의 격려말씀 잘 기억하겠습니다.
새로운 아이들과 만나기 위해 그동안 마음을 주었던 아이들과 헤어지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그저 덤덤한데 헤어진다는 말을 건네는 저는 콧끝이 찡해옵니다.
헤어지는 것에 유난히 약한 사람.
소장님의 책 구절 가운데
사무치지 않고 떠나는 것은 남은 사람에 대한 모욕이라는 글귀가 기억납니다.
사무치는 마음으로 떠납니다.
혼자 웃습니다. ㅋ ㅋ 어깨는 가냘프지 않지 ^^ 하고 말입니다.
따뜻한 말씀 고맙습니다. 써니님.
책읽기를 늘 게을리 하지 않아야겠다는 결심을 다시 합니다. 초아선생님. 감사합니다.
제가 커다란 고마움을 갖고 있음을 아시지요? 한명석선생님. 늘 고맙습니다.
앞으로의 10년 아니, 그 후에도 제게 든든한 아군이 되어주십시오.
백산님의 격려말씀 잘 기억하겠습니다.
새로운 아이들과 만나기 위해 그동안 마음을 주었던 아이들과 헤어지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그저 덤덤한데 헤어진다는 말을 건네는 저는 콧끝이 찡해옵니다.
헤어지는 것에 유난히 약한 사람.
소장님의 책 구절 가운데
사무치지 않고 떠나는 것은 남은 사람에 대한 모욕이라는 글귀가 기억납니다.
사무치는 마음으로 떠납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74 | 저녁 어스름 [2] | idgie | 2007.02.12 | 2005 |
1373 | 새로운 시작 [4] | 초심자 | 2007.02.12 | 2059 |
1372 | 행복한 저녁입니다. [3] | 서정애 | 2007.02.11 | 2158 |
1371 | 좋은 책 잘 읽었습니다. [2] | 강희경 | 2007.02.11 | 1891 |
1370 | 책을 내고 나서 - 감사의 글 - [9] | 문요한 | 2007.02.11 | 2109 |
1369 | 구본형선생님 질문있습니다... [2] | 정동출 | 2007.02.11 | 2026 |
1368 | 꿈벗 9기 전체 모임이 오늘, 대전 동학사에서 있습니다. | 계원 송경남 | 2007.02.10 | 2145 |
1367 | 안녕하세요,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2] | 신원석 | 2007.02.09 | 2028 |
1366 | 첫 느낌... | 신종윤 | 2007.02.09 | 1695 |
1365 | 어제 강연 잘 들었습니다. | 김갑웅 | 2007.02.09 | 1830 |
1364 | 겨울비는 내리고 내 마음은 젖었다. [4] | 최영훈 | 2007.02.09 | 1927 |
1363 | 연구원1기 문요한님의 책 "굿바이 게으름" [21] | 꿈꾸는간디 ™ 오성민 | 2007.02.07 | 2712 |
1362 |
우리 선아 배꼽이 떨어졌습니다. ![]() | 염구섭 | 2007.02.05 | 2142 |
1361 | 책읽기, 글쓰기, 그리기, 그리고 .... [3] | 校瀞 한정화 | 2007.02.04 | 2119 |
1360 | 한곳에 머물지 않는 나그네가 되어라 [10] | 초아 서 대원 | 2007.02.02 | 2764 |
1359 | 다시 처음처럼 [7] | 운제 | 2007.02.02 | 2058 |
» | 가냘픈 어깨에 무거운 짐을 얹지 마라 [9] | 김나경 | 2007.02.02 | 2397 |
1357 | 욕지도 일몰 보셨나요? (아미... ) [13] | 써니 | 2007.02.01 | 2890 |
1356 | 봄은 그렇게 우리들에게 오겠지요 [2] | 서정애 | 2007.02.01 | 1903 |
1355 | <꿈벗펀드>와 함께 하실 분을 초대합니다. [3] | 江賢김영훈 | 2007.02.01 | 21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