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jeiwai
  • 조회 수 2032
  • 댓글 수 15
  • 추천 수 0
2013년 7월 1일 01시 33분 등록

얼마 전, 작은 외삼촌이 삶이 무거워 스스로 삶을 내려 놓았다. 30여 년 전,이혼의 아픔을 겪고 혼자 지내 오셨지만 낙천적 성격으로 인생을 즐기셨던 분이었다. 배움이 짧아 용접 일을 하고 장사도하고, 전국의 건설 현장을 돌아다니며 품삯을 파는 유랑의 삶을 사셨다. 문상 가서야 삼촌이 몇 개월 전, 공사현장에서 다리를 크게 다친 것을 알았다. 사고 후유증으로 일을 할 수 없게 되자, 실의에 빠졌고 거기에 생활고까지 겹쳐 환갑을 앞에 두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더 이상 살아갈 용기와 희망이 없다는 짧은 유서를 남긴 채. 삼촌의 삶을 지탱해 주는 것이 일이었는데 그것마저 잃고 나니, 남은 삶은 아무 의미가 없었던 것 같다.

 

집 앞 산책길에 자주 만나는 노부부가 있다. 70대 중 후반 되어 보였다. 할머니는 중풍으로 발걸음도 힘들고 언어장애 증상도 보였다. 할아버지는 할머니가 무언가를 더듬더듬 물으면 아무 말 말고 앞을 보고 잘 걷기나 해! ‘하며 퉁명스럽게 대답했다. 그래도 할아버지는 할머니 손을 꼭 잡고 아주 천천히 걸었다. 할아버지가 살아가는 이유는 아마도 남은 인생, 할머니의 손과 발이 되는 게 아닌가 싶었다. 장애아를 자식으로 둔 부모의 심정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살아가면서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지는 때가 있다. 희망이 없는 상황에서 극소수의 사람들은 자살로 고통스런 삶을 마감한다. 하지만 절망의 순간에도 삶을 부여잡는 사람도 있다. 역사 속의 인물 , <사기>의 저자 사마천(기원전 145~기원전 90) 49세에, 죽음보다 더 치욕적인 생식기가 잘리는 형벌을 당했다. 그가 세상사람들의 조롱을 받으면서 살아간 이유는 처자식을 위해서가 아니었다. 42세부터 집필하기 시작한 역사서 <사기>를 완성하기 위한 일념뿐이었다. 궁형을 당한 후 <사기>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사마천은 하루에도 아홉 번 오장육부가 뒤틀리고 가만히 집에 앉아 있으면 멍하니 무엇인가를 잊은 듯 어처구니가 없고 자꾸만 부끄러워 언제나 등골에 땀이 흘러 옷을 적신다고 토로했다. 사마천은 56세에 14년에 걸친 <사기> 집필을 완성하고 곧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삶의 목표인 <사기>를 완성한 이상, 그에게는 더 이상 구차하게 삶에 매달릴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한때, 베에토벤( 1770~1827)의 음악에 심취한 적이 있었다. 그의 음악도 좋지만 삶의 비극을 예술적 작품을 창조하는 에너지로 승화시킨 인간 승리에 더 감동을 받았다. 그의 56년 삶 중에서 거의 반은 귓병에 시달려야 했고 죽기 전, 10년은 완전히 청각을 상실해 의사소통을 메모로 해야 했다. 하지만, 그의 대부분의 작품이 귓병에 시작된 이후 만들어졌다. 그는 1812년 어느 날 일기에서 운명에 충실한 순종! (...)너는 이제 자기 자신을 위해 살아서는 안 된다. 오직 다른 사람들을 위한 인간이 되어야 한다. 너 자신 안에, 너의 예술 안에 있는 것 외에 너를 위한 행복은 없다 라고 썼다.  청각이 완전히 손상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좌절하지 않고 다가올  인간을 위해 예술작품을 만들겠다는 그의 열정과 결연한 의지에 가슴이 뭉클했다.

 

누군가 얘기한다. 신은 자신이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시련과 고통만 준다고.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신은 그렇게 남의 사정을 배려하지 않는다. 혼자서 감당 하지 못할 일들이 너무 많다. 사람마다 그것을 받아 들이는 정도가 다르다. 어떤 사람은 시험 실패, 실연, 실직, 배신 등의 아픔을 감당하지 못해 삶을 등지는가 하면, 어떤 이는 신체적 고통보다 더 심한 정신적 상처를 입고도 삶의 십자가를 지고 가는 사람이 있다.

 

지금도 주위에는 치유할 수 없는 육체적 고통과 장애, 정신적 질병, 그리고 마음의 상처를 안고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죽기 전까지 그 짐에서, 그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는 사람도 있다. 살아 볼만한 가치가 있으니 살아보라는 진부하고 뻔한 얘기를 하고 싶지 않다. 살아갈 희망이 없을 때, 살아갈 이유를 계속 만들어 보면 어떨까 생각한다. 사소한 것이라도 좋다. 사마천처럼 거창하고 대승적인 목적일 필요는 없다. 자신보다 더 힘든 사람이 많음을 알고 삶의 고통과 짐을 경감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6개월째 실직 중인 내가 살아가는 이유는 간단하다. 홀어머니와  미지의 삶의 모험을 위해.  

IP *.50.96.158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11:43:08 *.226.201.12
언젠가 사부님께서 그러셨죠. 대차대조표를 그려서는 답이 안 나오는 게 삶이라고.

명백히 수지맞는 생을 누리는 사람따위는 없다. 적어도 나만 그런 건 아닌가 보다. 하는 생각을 하며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의 격은 분명히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그 격이란 '살아야하는 이유'를 찾아내는 공력에 달려있지 않나 싶습니다. 오늘도 공부를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21:18:14 *.50.96.158

죽을때까지  '공부'에 미쳐야 겠습니다.  '정신'을 바짝 차려야 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11:57:53 *.94.41.89

형님 글은 참 따뜻해요. 여름인데도 참 따뜻해요~ ^^;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21:55:12 *.50.96.158

여름은 시원해야 하는데 더 덥게 만들면 안되는데.. ㅎㅎ  . 막내 준영, 자주 울고 웃자꾸나 . 감사하고 사랑하고 또 사랑하자꾸나 .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14:41:16 *.52.227.183

jiayou!! ^^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21:27:12 *.50.96.158

wo zhen meixiangdao ni zhen me zhe mer  ni zhidao wo ?  hen gandong.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17:18:03 *.216.38.13

강상중의 <살아야 하는 이유>, 라는 책보다 오히려 더 담백하고 피부에 와 닿는 칼럼입니다. 살아야 하는 이유.. , 제 자신에게도 질문을 던져야겠네요. 무언가 거창한 이유를 찾느라 이제껏 허비한 것 같아요.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21:29:35 *.50.96.158

감사합니다.   제가 매일 '죽어야'하는 이유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18:27:21 *.62.175.7
형님! 늘 앞장서 달려주시는 모습에 힘을 얻습니다. 형선 아우 늘 뒤따라 뛰고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21:45:01 *.50.96.158

항상 가슴이 살아있는 동생, 형선.  뜨겁게 사랑하며 살아가게. 바쁨은 변명거리가 안되더군..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18:49:04 *.11.178.163

요기 위에 댓글들에 '좋아요' 클릭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동감!!!! 

 

저는 아버지, 어머니께 건강하셨으면 좋겠다고 얘기하는데, 절대 빈말아닙니다. 절절하지요. 자신과 배우자의 삶의 무게가 더 무거워지기도  하고, 자식의 고민거리 속되게 말하면 경제적 고민이죠, 그게 커져버리니까요. 미안하게도 그렇네요. 요즘처럼 살기 팍팍할 때는 더운 여름에도 살얼음판을 걷듯 조심해야지요. 재용님의 말대로 이건 개인이 감당할만한 시련을 신이 준게 아닌데 말이예요.

 

재용님의 이전글을 다 읽지 못해 미안해요. 

이 글은 '이제는 거울 앞에 선 내 누이같이' 장식이 없어 좋아요. 진솔하게 자신의 삶과 생각을 이야기하는 게 저는 좋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3.07.01 21:51:53 *.50.96.158

세상에서 제일 자신을 사랑해 주는 사람이 부모라는 것을 알았을 때는 아버님이 돌아가신 후였습니다.  이제 제게 남은 한분이  저를 아직도 사랑해주고,저는 또 사랑하는 두 아들이 있습니다.  어머니는  손자보다는 자식을 , 그 자식은 어머니 보다 아들을 더 사랑합니다.  그래서 자식은 부모의 마음을 죽을 때까지 모르는 것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7.02 09:41:15 *.50.65.2

재용님의 낙천적 성격. 

새벽마다 뛰는 남자

자신의 운명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받아들이면서 

운명을 사랑한 사람.

"나는 행복한 사람"이라고 하면서 늘 웃음을 머금은 얼굴에서

새로운 삶이 용트림하고 있음을 느끼게 하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3.07.02 09:41:45 *.46.178.46

형님 이번 칼럼 좋은걸요. 잔잔하니.... 우리가 가진 것들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것 같습니다. 

저도 분발해서 한자한자 꾸욱꾸욱 눌러써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절 부끄럽게 만드는 칼럼입니다 ^^


삶에는 살아야하는 이유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게 제 생각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그것을 놓는 순간 죽음을 택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이해가 갑니다.


우리는 적어도, 좋은 사람들과 좋은 스승을 만났으니, 

더 열심히, 잘, 즐겁게 살아야하는 이유가 더 생긴게 아닌가 싶습니다. 


비도 오는데, 형님이랑 술한잔 기울이고 싶네요 ^^ 

프로필 이미지
2013.07.03 00:15:00 *.58.97.22
비극에서 성숙하고 통찰력이 커지는...그러나 인생에는 희극도 붙어 있으니...
비극적인 것에서 삶의 에너지 끌어올리는 긍정적 통찰의 소유자, 오라버니.
오라버니의 새 여자친구는 오라버니와 반대되는 희극 유쾌 발랄한 여인네면 삶이 더욱 풍성할듯. 아공~어서 생겨라^^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52 #10,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다. [2] 쭌영 2013.07.08 2471
3551 소로우의 속삭임 [17] 범해 좌경숙 2013.07.02 2257
3550 사부의 마지막 충고와 눈물 file [26] 한숙 2013.07.02 2320
3549 Climbing - 13. 아이처럼 [3] 書元 2013.07.02 1944
3548 (No.3-1) 역사 속 한 장면- 자발이냐 꾀임에 의한 동원이냐? (9기 서은경) file [6] 서은경 2013.07.01 4877
3547 [7월 1주차] 내 안의 등불이 세상을 밝히는 그 날까지_박진희 file [13] 라비나비 2013.07.01 2057
3546 죽음은 삶을 더 빛나게 한다 [9] 오미경 2013.07.01 2049
3545 #9 칼럼 - 경쟁, 불편하고도 피할 수 없는 현실 [15] 땟쑤나무 2013.07.01 2176
3544 사마천의 기록과 나의 기록 file [8] 유형선 2013.07.01 2096
» 살아가야 할 이유 [15] jeiwai 2013.07.01 2032
3542 #9, 책, 정말 쓰고 싶은건가요? [7] 쭌영 2013.07.01 1870
3541 부채론 [14] 범해 좌경숙 2013.06.29 1977
3540 나의 신화이야기 ,오이디푸스의 운명에 대해 [7] jeiwai 2013.06.24 2624
3539 나만의 신화- 사랑의 신 아프로디테 file [4] 오미경 2013.06.24 5738
3538 [6월 오프수업] 신화이야기: 팔찌의 비밀 file [13] 라비나비 2013.06.24 2316
3537 나의 신화 - 다이달로스의 미궁 file [5] 유형선 2013.06.24 4112
3536 (No.2-4) 나의 신화 제의& 웅녀의 첫 책story-9기 서은경 [11] tampopo 2013.06.24 2299
3535 #8. 나만의 신화 : 세르푸스의 모험 (6월 오프수업과제) [7] 땟쑤나무 2013.06.24 2008
3534 #8. 나의 신화이야기(6월 오프수업) [6] 쭌영 2013.06.24 2220
3533 산 life#8_빛나는 하루 서연 2013.06.18 2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