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양경수
  • 조회 수 3741
  • 댓글 수 13
  • 추천 수 0
2011년 9월 18일 23시 54분 등록

P9170423.JPG

지난주에 어머님이 갑상선 암으로 수술을 받으셨습니다. 요새 갑상선 암은 너무 흔한 질병이 되었습니다. 실제로 암 발병률이 높아진 것보다 예전에 비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검사 기술이 발달해서 발견률이 높아졌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어머님은 화요일날 입원하셔서 수요일날 수술하시고 토요일날 퇴원을 하셨습니다. 수술하는 날부터 병실을 지키며 다음날까지 그곳에서 머물며 알게 되었는데, 그 병실 전체가 갑상선 암 환자분들 이었습니다. 아침 8시부터 두 세시간 간격으로 환자들이 순서대로 수술실로 들어가시는 모습을 지켜보았습니다. 꼭 공장의 조립라인에 들어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 환자들은 수술 후에도 똑같은 시간에 주사 맞고 약을 먹고, 교육도 받았습니다. 퇴원 후에도 평생 병원에서 처방하는 호르몬약을 먹어야 합니다. 게다가 토요일 날 퇴원하시는데 다음 암환자들이 미리 와서 수술이 끝난 환자들이 나가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고 하시더군요. 병이 생긴 후에 의사나 또는 기계에게 내 운명을 맡긴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어찌할 수 없는 병을 가진 사람을 바라보는 것은 더욱 통탄할 일입니다. 

큰 병이 아니라 갑자기 몸살이 오기만 해도 우리는 몸의 중요함을 절실히 느낍니다. 아프면 숨 잘 쉬고 잘 먹고 잘 싸는게 얼마나 그리운지 모릅니다. 저도 군대시절 허리를 다쳐 근 백 일간을 고생했었습니다. 낮에 시멘트 포대를 수없이 나른 후 밤에 근무를 위해 일어서다가 삐끗한 것입니다. 허리 아픈 것이 티도 안 나고 애매합니다. 휴가 나가서 검사를 해도 근육이 약해져서이니 수술할 정도는 아니라 했습니다. 할 수 있는 치료는 진통제 주사와 물리치료 정도였습니다. 군대에서 마냥 눈치 보며 쉴 수도 없고, 매일 아픈 티를 내며 얼굴 찌푸리고 살기가 힘들었습니다. 어느 날 번뜩 그냥 몸으로 부딪히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피해왔던 태권도 연습을 시작했습니다. 고통을 참으며 몸을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냥 고통 속으로 뛰어들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무리한 것은 아닙니다. 천천히 몸을 잘 관찰하며 근력을 키웠습니다. 다리도 찢고 발차기도 하면서 변해가는 내 몸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런 날들이 지나자 어느샌가 허리의 통증은 사라졌습니다. 프랑스의 철학자 가브리엘 마르셀은 "세상에는 머리만으로는 뚫고 나갈 수 없는 벽이 존재한다. 그때는 직접 몸으로 부딪혀야만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때가 저에겐 온 몸으로 부딪혀야 할 때였나 봅니다.

제대 후에도 가끔 잊을 만 하면 허리가 삐끗하는 했었습니다. 졸업논문을 쓴다고 학교 실험실에서 아침부터 밤까지 실험하고 책상 앞에 앉아 있을 때였습니다. 맡고 있는 프로젝트 또한 과중한 부담감을 주어 어깨가 무거웠습니다. 여지없이 허리가 삐끗하더군요. 그런 경험을 몇 번하고는 '이렇게는 못 살겠다'는 생각까지 들었습니다. 머리만으로 뚫고 나갈 수 없는 벽을 만난 것입니다. 그런 와중에 학교생활은 거의 끝이 났고 우연히 '요가'를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첫 수업의 마지막에 송장자세로 누워 있는 순간 온 몸에 긴장이 완전히 풀리고, 내 몸의 모든 느낌을 그대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냥 있는 그대로, 일어나는 느낌 그대로를 바라보세요."라는 선생님의 멘트에 그냥 눈물이 주루룩 흐르더군요. 태어나서 삼십년 가까이 나와 매순간을 함께 해온 몸뚱이를 제대로 느낀 것이 그때가 처음이라는 생각에서였습니다. 계속해서 요가수련을 했고, 뭔가 제대로 해보자는 마음에 요가를 배우러 인도에 까지 가기도 했습니다. 그 뒤로는 허리로 고생하는 일은 없었습니다.

역설적이게도 작가나 철학자가 되고 싶다면 먼저 운동선수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몸을 느끼지 않고 사는 것은 반쪽짜리 삶을 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온전한 삶을 위해서는 온몸이 땀으로 뒤범벅이 되어 뛸 수 있어야 합니다. 일흔 살 넘게까지 달리기를 하며 글을 썼던 <달리기와 존재하기>의 저자  조지 쉬언 할아버지는 매일같이 10킬로미터를 달렸다고 합니다. 시간으로는 한 시간 정도. 이분이 이렇게 쓰셨습니다.  "달리기를 시작해서 처음 30분 동안은 내 몸을 위해 달린다. 그리고 마지막 30분 동안은 내 영혼을 위해 달린다."  그의 말처럼 운동의 목표는 몸을 위해서만이 아닙니다. 제대로 살기 위해서 자신의 몸을 최상의 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연구원 활동과 직장, 가정생활 등에서 맡은 역할을 한다는 핑게로 운동을 꾸준히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꾸준히 붙잡고 있는 것은 잠자기 전 간단한 스트레칭과 일어나서 108배, 그리고 가끔 동네 한 바퀴를 달리는 것 정도입니다. 그런데 마감이라는 압력에 끙끙대다보면 다른 어떤 것도 할 생각을 못하게 됩니다. 그러다보면 생각도 떠오르지 않고, 아무 글도 쓸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그때가 되서야 운동화를 신고 뛰쳐나갑니다. 처음의 터질 듯한 심장을 누르고 규칙적인 발걸음과 호흡을 하다보면 어느새 심장 박동 수가 안정됩니다. 단조로운 몸의 움직임과 호흡만이 남게 되면 문득 영감이 떠오릅니다. 달리기 후에 그 영감을 붙잡고 잠시 바라보고 있다가 노트에 대략적인 구상을 적습니다. 그러다가 컴퓨터 앞에 앉아 글을 씁니다. 지금 처럼이죠. 이건 글쓰기의 시작에 불과할 뿐입니다. 더 깊어지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운동이든 글쓰기이든 자유로운 경지에 이르려면 힘든 훈련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훈련을 통해 어떤 장벽이 무너질 때 새로운 세계가 열릴 것입니다.

저에게 달리기는 몸으로 사는 법을 알려줍니다. 몸을 잘 관찰하며 단련하는 것이 삶에서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자유를 주기도 합니다. 일을 망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저 수수방관하는 것이지요. 살다보면 몸을 부딪쳐야만 할 때가 있습니다. 그때를 준비하기 위해 몸 만들기를 게을리하지 말아야겠습니다. 단지 S라인과 초콜릿 복근을 위해서가 아닙니다. 제대로 살기 위해서입니다. 내가 지금보다 더 잘 달릴 수 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달리기나 글쓰기나 매일 매일의 삶이나 마찬가지 입니다.

며칠 전 달리기를 하며 똑딱이 카메라로 찍었던 풍광을 함께 싣습니다. 뛰면서 사진기로 담은 세상은 뭉개지고 흔들려 있습니다. 이런 사진들은 휴지통에 들어가거나 하드디스크에서 잠자야 하겠지만, 달리기 이야기를 할 때 꺼내 놓으니 조금은 어울리지 않나요?

P9170420.JPG


[Monday, String Beans]는 양갱이 '매주 월요일에 전하는 사진에세이'입니다.
==================================================================

양갱의 블로그 [Monday, String Beans] http://incross00.blog.me

페이스북 친구하기http://www.facebook.com/incross00

월요일에 전하는 사진에세이 [Monday, String Beans] 신청하기 : incross00@naver.com 또는 블로그, 댖글



IP *.166.205.132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9.19 00:11:39 *.143.156.74
경수의 글을 일고 있노라니 나도 달리고 싶네.
달리면서 머리 속 복잡한 생각들을 모두 날려 버리고 싶네.
나도 이제 머리보다 몸으로 부딪혀 나의 벽들을 깨고 싶어지네.
프로필 이미지
2011.09.19 01:01:14 *.75.194.69
바람이 참 좋았지.. 내가 루미글 읽고서 마무리하는 사이에 다들 컬럼을 올렸네 ^^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9.19 22:36:16 *.111.51.110
사샤야 다들 똑같은 심정일꺼야.
나도 죽갔다~ㅋ
우리같은 초심자들이야 도토리 키재기 아니겠냐.
그나마 탈락안시키니까 얼마나 당행인지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1.09.19 14:19:22 *.45.10.22
아~ ㅎㅎ 이번 주말에 바람이 좋았다는 이야기 
달리기 하기에 좋았겠구나 이런 이야기 
내가 좀 앞뒤를 너무 빼고 말하는 경향이 있죠?
지상에 많이 내려온 줄 알았는데 
아직도 가끔 그래요~~ 
안 그래도 어제밤에 훈이 오빠 글에 
댓글달려고 한 참 찾았다는... ㅎㅎ
뭐.. 딴건 아니고 졸렸던거지 모
다들 너무 글 잘쓰는 것 같아요... 
오라버니들 나만 발전안되고 있는 것 같아서 불안해 ㅠㅠ
이거 완전히 나작가 프로그램 같다니깐..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9.19 13:52:52 *.166.205.131
형~ 나도 궁금해요.
사샤야 나한테 한 얘기 맞어?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9.19 12:31:57 *.163.164.177
다들?
나는?
아직 안올렸거든!!
이제 나는 보이지도 않은겨?

그런데 사샤에 경수 댓들에 왜 "그래 바람이 좋았지..."라고 적어둔 것이여?
둘만이 아는 암호?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9.19 12:38:24 *.163.164.178
경수야, 너는 주제를 정하고 나서 더욱 안정되어 가는 것 같구나.
암튼 머릿 속이 복잡할 때 걷거나 달리는 것은 복잡한 생각을 정리하느데
탁월한 어떤 무엇이 있는 것만은 틀림없음!! 
달리다면 안개와 같은 생각들을 뚫고 가슴 탁 트인 해갈을 느낄 때가 있지.

너의 글을 가만히 읽고 있으니. 일전에 김용규 선생님 모시고 수업하던 날
너가 우리들의 강점을 읽어주었던 목소리가 자꾸 환청처럼 들리냐....
"훈이 형은 어찌 어찌~~~~ 합니다. 그렇습니다."했던 그 톤이 자꾸 생각나.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9.19 13:55:02 *.166.205.131
ㅋㅋ 넌 또 웰케 웃기냐! '좋아요' 버튼을 찾는다는 그 말에 빵 터진다~!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9.19 13:34:51 *.36.108.178
ㅋㅋㅋㅋㅋ... 저 마지막 톤 읽는데 왤케 웃기냐..................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저도 갑자기 환청이 들리네요.ㅎㅎㅎ.. 루미체 이후의 엄청난 발견이군..ㅋㅋㅋ..

(여기가 페이스북인줄 알고, 순간 '좋아요' 버튼을 찾았다는...ㅎㅎ)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9.19 13:58:28 *.166.205.131
음~ 난 잘 모르겠는데... 그게 양갱체가 아닐지 ㅋㅋ
계속 양갱체를 발전시켜 나가겠습니다. ^^

형~ 저 아직 주제 못잡았어요.
완전 헤메고 있거든요? 어쩔까요?
내용의 방향이 없는것 같아요.
칼럼 하나 하나는 쓰겠는데, 이걸 모아 어떻게 책을 만들겠다는 기획이 안서요.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9.19 13:36:11 *.36.108.178
첫번째 사진이 너무 좋다. 마치 그림을 그려놓은 것 같아서.

이 글을 읽으니.. 건강한 내몸에 감사하며.. 운동을 해야겠다는 생각과..

나도 이제 부지런히 몸으로 부딪히는 인간이 되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뇨...!!!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9.19 16:38:53 *.166.205.132
미나는 이미 부지런히 몸으로 부딪히는 사람!
약간의 근력 운동을 해주면 더 좋겠지?
몸이 가볍고 하체가 튼튼해야 멀리 날 수 있을꺼야~~^^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9.21 09:53:57 *.23.188.173
아... 운동... 영원한 화두지요........
언젠가 25개부터 시작해서 매일 5개씩 올려나가서
결국 108배를 한 적이 있었어요. 대략 15분에서 20분 정도가 걸리고
다리가 조금 후들거리는 기분이었는데
이런 걸 꾸준히 해 줬어야 하는데 그놈의 꾸준히가.......
108배를 했던 이유는 다른 게 아니라 예쁜 자세를 만들어 준다고 해서
나는 예쁜 에티튜드를 가진 사람이 되고 싶었거든요
오빠 글을 읽으니 바로 운동화를 신고 달려나가고 싶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2 길이 끝나는 곳에서 (11. 보이는가? 니케의 미소가...) file [2] 백산 2011.09.23 2361
2631 [09] 퀴즈 [2] 최우성 2011.09.22 2585
2630 길이 끝나는 곳에서 (10. 믿음은 본능이 아니다) [4] 백산 2011.09.22 2149
2629 길이 끝나는 곳에서 (9.변화가 시간을 이끈다) [8] 백산 2011.09.20 2967
2628 [늑대22] "우리가 남이가...?"의 진실을 향해서 [11] 강훈 2011.09.19 2127
2627 21. 스스로의 삶에 얼마나 열정적인가? file [12] [2] 미선 2011.09.19 3019
2626 길이 끝나는 곳에서(8. 할 수 있는 것과 잘하는 것은 다르다) [12] 백산 2011.09.19 2663
2625 [Sasha] 컬럼 21. 사샤의 이중생활 - (긍정적인 일탈자 편) file [12] 사샤 2011.09.19 2496
2624 미나의 모의비행 (2) [12] 미나 2011.09.19 2357
2623 나비 No.21 – 누구의 세계에 살고 있는가? [15] 유재경 2011.09.19 3944
» [Monday,String Beans-#2] 몸으로 부딪쳐야 할 때 file [13] 양경수 2011.09.18 3741
2621 안녕하세요 [14] 루미 2011.09.18 2079
2620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7.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의 주류 [1] 書元 2011.09.18 3020
2619 단상(斷想) 80 - 소원을 말해봐 file [1] 書元 2011.09.18 2096
2618 길이 끝나는 곳에서 (7. 한 번만으로 충분하다) [6] 백산 2011.09.17 2634
2617 [늑대21-1] 이수일과 김중배 [2] 강훈 2011.09.16 2539
2616 길이 끝나는 곳에서 (6. 그 문은 열 필요가 없다) [4] 백산 2011.09.14 2900
2615 [Sasha] 파트라슈와 파블로프의 개 - 조건화된 삶에서 해방되기 file [10] 사샤 2011.09.12 2972
2614 저는 인간입니다 [11] 루미 2011.09.12 2343
2613 [늑대21] 무엇으로 헌신을 구할 것이냐? [9] 강훈 2011.09.12 2657